디지털헬스

국내 개발 AI 주치의 닥터앤서, 대장암 조기발견 지원한다..."D.N.A 기반의 의료서비스 질 개선"

기사입력 2021.01.19 11:33
과기부 최기영 장관 닥터앤서 현장 방문
가천대 길병원, 국내 최초 닥터앤서 대장내시경실 설치
  • 닥터앤서 대장내시경실에 방문한 최기영 장관/사진제공=길병원
    ▲ 닥터앤서 대장내시경실에 방문한 최기영 장관/사진제공=길병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최기영 장관이 디지털뉴딜 현장소통 일환으로 지난 18일 가천대학교(총장 이길여, 이하 ‘가천대’) 길병원(김양우 병원장)을 방문하여 국내 최초 '닥터앤서 대장내시경실' 현판식을 개최했다.

  •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장비/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장비/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닥터앤서는 과기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김창용 원장, 이하 'nipa')이 2018년부터 지난 3년간 총 488억원을 투자하고, 서울아산병원을 중심으로 국내 26개 의료기관 및 22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등 연인원 총 1,962명이 참여하여 개발한 인공지능(AI) 의료용 소프트웨어(SW)이다.

    최기영 장관이 방문한 가천대 길병원은 '닥터앤서’의 8개 대상 질환 중 대장암 발생 예측 및 진단 SW 개발을 주관하고 있다. 가천대 길병원은 이를 위해 의료기관, ICT 기업과 협력 중이다. 의료기관으로는 고려대구로병원, 부산대병원, 강릉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화순전남대병원 등이 있으며, 협력 중인 ICT 기업은 인피니티헬스케어, 이원다이애그노믹스,피씨티 등이다.

    닥터앤서 대장내시경은 약 8만 명의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연계·분석하여 대장암의 발생 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 내시경 검진 시 의료진이 대장 용종을 놓치지 않고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대장암의 조기발견 및 치료를 도와줄 수 있다.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SW는 2020년 2월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인허가를 받았으며, 길병원은 기존 대장내시경실에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SW를 설치하고, 국내 최초로 AI 기반 대장내시경 검진체계를 갖추었다.

  •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진단정확도 개선/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진단정확도 개선/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가천대 길병원의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서비스는 AI 기반의 ‘대장용종 발병 위험도 예측 SW’와 ‘내시경 기반 대장암 분석 SW’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과잉진료를 피할 수 있고,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장내시경 등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환자들은 우선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통한 문진(성별, 키, 몸무게, 음식, 운동습관, 약물복용력 등)으로 대장암(용종)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고,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게는 내시경 등 추가적인 진단을 적극 권유하고, 생활습관 개선 방향 등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대장암(용종)을 발견 및 치료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데, 의료진의 피로도와 숙련도 및 환경 요인 등에 따라 작은 용종을 놓치는 경우도 적게는 16%, 최대 26%나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닥터앤서 대장내시경 SW'는 의료진이 내시경 검사를 하면서 발견하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는 작은 용종도 실시간으로 발견해 알려줌으로써 대장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과기부 최기영 장관은 "닥터앤서는 인공지능과 의료 융합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라고 강조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기반의 의료서비스 질 개선에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