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콩팥병에서 신장 염증을 유발하는 핵심 단백질을 규명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팀(박평강 아주의대 교수, 황주현 서울의대 학생)과 서울의대 의과학과 김현제 교수팀(김용준 서울의대 학생)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환자 인체유래물 실험을 통해 당뇨병콩팥병(당뇨병신질환)의 신장 염증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바로 ‘CXCL12’라는 이름의 단백질이 면역세포인 T세포를 신장 조직 안으로 끌어들여 염증을 유도하고, 신장 기능 저하를 가속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인 ‘DMJ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최근호에 게재됐다.
-
연구팀은 당뇨병콩팥병을 유도한 동물 모델과 실제 환자의 신장 조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손상된 신장 조직에서 ‘CXCL12’라는 단백질이 많이 증가해 있었고, 이 단백질이 T세포를 신장으로 유인해 조직 안으로 침투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T세포는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세포지만, 신장처럼 섬세한 장기에서는 과도한 면역 반응이 오히려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CXCL12 단백질이 많이 나오는 부위에 T세포가 집중되어 있었고, 이 부위에서 신장 기능에 관여하는 신세뇨관 손상이 함께 나타났다.
CXCL12 단백질이 실제로 염증을 유도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CXCL12 항체를 동물에 투여한 결과에서는 신장 조직 내 T세포 침투가 줄어들고 염증 반응도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당뇨병콩팥병 환자들의 신장 조직을 분석한 결과, CXCL12 발현이 높을수록 사구체여과율(eGFR)이 낮고, 병이 더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CXCL12 단백질이 단순히 염증을 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장 기능 저하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지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당뇨병콩팥병은 SGLT2 억제제, 혈압약(RAS 차단제),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차단제 등으로 치료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여전히 10년 이내에 투석이 필요할 정도로 병이 빠르게 악화한다. 신장 염증이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 왔지만, 명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아 염증 억제 약제는 임상에 도입되지 못했다.
한승석 교수는 “이번 연구로 신장 염증을 유도하는 구체적인 원인을 밝혀냈다”며 “앞으로 CXCL12나 이와 관련된 염증 경로를 조절하는 약제가 신장 기능을 보존하고 투석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당뇨병콩팥병은 당뇨병으로 인해 신장의 사구체와 세뇨관이 손상되며 발생하는 만성질환이다. 국내 투석 환자의 절반가량이 이 질환에 해당할 정도로 흔하고, 특히 고혈당 상태가 오래 지속된 환자일수록 위험이 높다. 시간이 지날수록 신장 기능이 점차 떨어지고, 말기에는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