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디지털헬스
제약
바이오
일반
전체
일반
한국후지필름BI,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맞춰 국내 의료기관 본격 공략
한국후지필름BI가 CCTV 영상 보안 시장 선점을 위해 본격적인 국내 의료기관 공략을 시작했다.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 주식회사(이하 한국후지필름BI)는 오는 9월 의료법..
2023.05.24 (수)
안전한 건강기능식품 선택 비결은 ‘성분 함량, 섭취량, 인증마크’
천연물 연구 개발기업 뉴메드가 '식품 안전을 지켜주는 3가지 원칙'을 제시했다.뉴메드는 최근 시중에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 가운데 허위 광고 및 함량 미달 제품 등으로 적발되는..
2023.05.24 (수)
중장년층, 악력 측정으로 우울증 조기 선별 가능
중장년층의 우울증 조기 선별에 악력 측정이 도움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산 교수·오재원 연구원, 계명대학교 통계학과..
2023.05.23 (화)
우울증 등 정신질환 있는 젊은 성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높다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았거나 앓고 있는 20~30대 성인은 또래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이 58%, 뇌졸중 위험이 42%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박찬순..
2023.05.22 (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이브레인, ‘블루밴드 우울증 평가 및 치료 인증병원’ 프로그램 진행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와이브레인이 공동으로 ‘블루밴드 우울증 평가 및 치료 인증병원’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양 기관은 지난해 처음 우울증 블루밴드 캠페인을 만들고,..
2023.05.22 (월)
아토피피부염, ‘황색포도알균’ 치료로 피부 악화 악순환 막는다
황색포도알균이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 지질 조성을 바꾸고, 피부 장벽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직접 원인’으로 밝혀졌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에 흔히 분포하는..
2023.05.22 (월)
어떤 제품이 좋을까? 시그니아, 보청기 선택 가이드 공개
최근 인구 고령화와 젊은 난청 인구의 증가로 보청기를 찾는 이가 늘고있다. 보청기는 약해진 청력을 보강하는 의료기기로, 개인별 선호하는 디자인과 난청 정도, 생활 환경 등을 고려해..
2023.05.20 (토)
당뇨병, 진단 연령 10년 빠를수록 심혈관질환의 유전적 위험은 14%씩 증가
당뇨병 진단 연령 10년 빠를수록 유전적 영향에 의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 14%씩 커지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키면 그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서울대병원..
2023.05.19 (금)
취약계층 의료 접근성 문제 해결을 위한 방문요양 프로젝트 진행
민간기업, 공공기관, 의료기관이 함께 지역사회 취약계층의 의료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디지털 헬스 전문 기업 라이프시맨틱스는 공무원연금공단,..
2023.05.19 (금)
낮에 졸음 쏟아지는 ‘춘곤증’ 증상, 3주 이상 지속되면 수면무호흡증 의심
춘곤증은 겨우내 추위로 움츠러들었던 근육이 주변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근육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갑자기 졸음이..
2023.05.18 (목)
지멘스 헬시니어스, 심장 내 초음파 카테터 생산·판매 200만 대 기록
지멘스 헬시니어스가 업계 최초로 심장 내 초음파 카테터 제품의 누적 생산 판매 200만 대를 달성했다고 18일 밝혔다.해당 제품은 임상 진단을 위해 처음으로 위상 배열(Phased array) 기술을..
2023.05.18 (목)
바디텍메드, 라메디텍 ‘레이저 채혈기’ 판매 계약 체결…진단영역 외 사업 영역 확대
현장 진단 전문업체 바디텍메드가 레이저 전문 헬스케어 기업인 라메디텍과 레이저 채혈기 핸디레이(HandyRay)의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라메디텍이 개발한 핸디레이는..
2023.05.18 (목)
주빅, 美 학회에서 마이크로니들 약물 전달 구현 독자 기술 발표
마이크로니들 의약품 개발기업 주빅이 지난 5월 15일부터 3일간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한 세계 최대 규모 마이크로니들 학회(MICRONEEDLES 2023)에서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정확한 약물 전달의..
2023.05.18 (목)
분당서울대병원, 생후 3주 이후에도 선천성 난청 진단 가능한 예측 수식 고안
생후 3주가 지난 신생아의 선천성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수식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고안됐다.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팀은 생후 3주 이후에도..
2023.05.17 (수)
근감소성 비만 환자, 근지방증 발생 위험 4배 높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정창희 · 조윤경, 건강의학과 김홍규 교수팀이 건강검진 수검자 1만 3천 명의 복부 CT(컴퓨터 단층촬영)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근감소성 비만 그룹에서..
2023.05.17 (수)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