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박쥐’는 동굴에서 산다고 생각하지만, 과거 사람의 주거공간에서 함께 살았던 박쥐가 있다. 과거 사람의 주거공간에서 함께 살았지만, 주거환경의 변화로 서식지를 잃게 된 집박쥐다.
-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집박쥐는 동굴에서 살아가는 동굴성(cave-dwelling) 박쥐와 달리 한옥의 서까래나 벽 틈을 잠자리로 이용하는 주거성(house dwelling) 박쥐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대만, 중국, 베트남, 미얀마 등 아시아에 분포한다.
10~30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집박쥐는 민가 주택의 벽, 지붕, 인공구조물 등의 다양한 틈을 잠자리로 이용하며, 산림, 논, 습지, 하천 주변에서 파리목, 인시목, 노린재목, 거미류를 잡아먹는다. 11월부터 3월까지는 동면하며, 6월 중순경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난 지 3주가 지나면 스스로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다.
-
국립생태원은 2016년 2월부터 10개월간 삼척, 문경, 안성, 함평, 제주 지역에서 긴날개박쥐, 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집박쥐 등 4종을 대상으로 ‘식충성 박쥐의 생태연구’를 수행한 결과 몸무게 7~9g의 집박쥐가 매일 밤 약 3,000마리의 모기에 해당하는 1~3g 정도의 해충을 먹는 것을 확인했다. 집박쥐는 벼 해충으로 알려진 멸강나방 속(멸강나방), 이화명나방 속(혹명나방), 멸구 속(흰등멸구) 등의 해충도 잡아먹는다. 농경지 내에 집박쥐가 산다면 살충제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농경지 내 서식하는 박쥐는 해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농약을 적게 쓰는 친환경 농업을 가능하게 해준다. 나아가 집박쥐는 건강한 자연환경을 만들어주는 ‘생태계 공공재’로서의 가치가 커 인간과 야생동물의 공존 방법 모색에 선례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국립생태원은 지난 22일과 23일 충남 청양군 물여울농촌체험장에서 ‘집박쥐와 함께 하는 녹색환경 만들기’ 체험행사를 개최해 직접 만든 박쥐 집을 농경지 주변에 설치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