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미술전시·영화·공연도 AI 로봇이 안내…국립현대미술관 등 ‘큐레이팅봇’ 확대 도입

기사입력 2021.05.29 10:00
  • 인공지능(AI) 로봇이 미술전시, 영화, 공연 분야까지 안내 범위를 넓힌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정보원(이하 문정원)과 함께 자율주행 기반의 인공지능 로봇 서비스(이하 큐아이)를 미술·공연·영화 분야로 확대해 설치·운영한다고 밝혔다.

  • 국립국악원 ‘큐아이’서비스 제공 모습 /사진=문화체육관광부
    ▲ 국립국악원 ‘큐아이’서비스 제공 모습 /사진=문화체육관광부

    ‘큐아이’는 ‘문화(Culture)’+‘큐레이팅(Curating)’+‘인공지능(Al)’의 뜻을 담은 인공지능 로봇으로, 2018년부터 문체부 주요 문화 시설에 배치되어 채팅로봇 서비스와 자율주행기반의 문화해설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8곳에서 총 11대가 운영되고 있는 큐아이는 2022년부터는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극장, 한국영화박물관에서 각 기관 특성에 맞춘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관람객들을 위한 쉽고 재미있는 미술 전시작품해설 서비스를, ▲국립중앙극장에서는 올해 새롭게 단장하는 해오름극장에서 관람객을 위한 특화된 공연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영상자료원에 있는 한국영화박물관에서는 세계적으로 우리 문화의 위상을 높이고 있는 한국 영화를 다국어로 안내할 계획이다.

    특히 그동안 시범 적용했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기반 해설 서비스와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해설 및 자막안내 서비스, ▲관람객이 원하는 특정 지점까지 동행해 안내하는 서비스, ▲한국문화를 즐기고 알릴 수 있도록 외국인을 위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다국어 서비스 등을 내년에 설치할 예정인 큐아이에 적용한다.

  • 국립태권도박물관 ‘큐아이’서비스 적용 모습 /사진=문화체육관광부
    ▲ 국립태권도박물관 ‘큐아이’서비스 적용 모습 /사진=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복합한 ‘큐아이’를 2024년까지 다양한 문화공간에 확대 배치함으로써 코로나 일상 속에서 국민의 문화 향유를 지원하고, 신기술을 접목한 문화서비스 혁신으로 국민 행복 실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