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 온난화가 한반도의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최근 50년간 우리나라의 해역별 표층 수온 변화 및 주요 어종별 어획량을 분석한 ‘기후(수온)변화에 따른 주요 어종의 어획량 변화’ 자료를 공개했다.
1850년대부터 심화하여 온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전 세계 평균 기온은 지난 100년(1918~2017년) 동안 1.55℃, 표층 수온은 0.62℃ 상승했다. 하지만 최근 50년(1968~2017년)간 우리나라 해역의 표층 수온의 상승치는 세계 평균치(0.52℃)보다 약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 표층 수온은 1968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 추세이며, 최근 50년 동안 약 1.1℃ 상승했다. 해역별 표층 수온 변화는 동해 1.7℃, 남해 1.4℃, 서해 0.3℃ 순으로 동해와 남해가 서해보다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 상승은 1990년 이후 연근해 해역의 어획량도 바꿔놓았다. 통계청의 ‘어업생산 동향조사’ 자료에 따르면 고등어류 멸치, 살오징어 등 난류성 어종이 증가하고, 명태, 꽁치, 도루묵 등 한류성 어종은 감소했다.
-
해역별 주요 어종 어획량을 살펴보면, 동해권은 전갱이류 등은 증가하고, 명태, 꽁치, 도루묵, 살오징어 등은 감소했다. 서해권은 멸치, 살오징어, 꽃게 등은 증가, 갈치, 참조기 등은 감소했다. 남해권은 전갱이류, 살오징어, 고등어류, 멸치, 갈치 등은 증가, 참조기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어종의 어획량 변화는 기후(수온)변화 외에도 어선·어구의 발달, 남획 및 중국어선 불법조업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지만, 일부 어종은 기후변화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이번 자료는 연근해 해역의 수산자원 회복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어종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