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현재 맡고 있는 직무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벼룩시장은 직장인 12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직무 불안정성’ 설문조사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59%가 ‘현재 직무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보통’이라는 응답은 31.7%,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9.3%로 나타났다.
직무별로 살펴보면, 불안감을 느끼는 비율은 건설직(78.6%), 보건·의료직(69.2%), 연구·개발직(67.1%) 순으로 높았다. 반면 금융직(26.1%), 교육직(48.7%), 사회복지직(50.0%), 생산직(51.6%)에서는 상대적으로 불안감을 덜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
불안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급여’(22.3%)였다. 그 외에도 나이에 영향을 받는 직업이라서(16.4%), 비전이 불확실한 직업이라서(13.5%), 워라밸이 좋지 않은 직업이라서(12.6%) 등의 답변이 많았다. 또한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하기 쉬운 직업이라서(10.6%)와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직업이라서(10.5%)라는 이유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직무 전환 의향에 대해 87.7%는 ‘직무를 바꾸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45.2%는 ‘직무 전환 의사가 있다’고 밝혔고, 25.9%는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 16.7%는 ‘현재 직무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직무 전환 의사가 없다는 응답은 12.3%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는 직무 전환 의사가 91%로 매우 높았지만, 30대부터 50대까지는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는 응답이 각각 33.8%, 34.5%, 45.0%로 증가했다. 직무 전환을 망설이는 이유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23.6%)이 가장 많았으며, ‘현재까지 쌓아온 커리어를 포기할 수 없어서’(21.0%), ‘자격 미달·기술 부족이라 생각해서’(19.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직무 전환을 원한다면 가장 선호하는 직무는 ‘사무직’(30.8%)이었다. 그 외에도 연구·개발직(13.8%), 사회복지직(11.2%), 서비스직(10.2%) 등이 선호 직무로 꼽혔다.
직무 전환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소는 ‘나이와 관계없이 오래 일할 수 있는 직무인지'가 24.8%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적성(18.2%), 미래 전망(13.8%), 급여 수준(11.7%), 워라밸(9.5%) 등을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 김경희 기자 lululal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