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 주요 위험인자 밝혀졌다

기사입력 2023.02.08 14:54
  • ‘심방세동’과 ‘우심방 확장’이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atrial functional tricuspid regurgitation, AFTR)의 주요 위험인자로 밝혀졌다. 또한, 심방세동 환자 중 우심방의 크기가 클수록 중등도(moderate) 이상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삼첨판막 역류증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삼첨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심장 수축 시 우심실에서 우심방으로 피가 역류하는 질환이다. 인구의 약 65~85%에서 관찰되는 흔한 심장판막질환으로 대부분 심초음파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증의 경우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등도 이상의 삼첨판막 역류증은 우심실 부전으로 이어져 생존율이 낮아질 수 있다.

  • [Figure] 중등도 이상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은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초록색 선) 그렇지 않은 환자(빨간색 선)에 비해 더 흔히 발생했다.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 [Figure] 중등도 이상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은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초록색 선) 그렇지 않은 환자(빨간색 선)에 비해 더 흔히 발생했다.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박준빈 교수·곽순구 전문의 연구팀은 경증의 삼첨판막 역류증 환자 데이터를 활용해 심방세동 및 우심방 변형이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의 진행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7년에서 2019년 사이 서울대병원에서 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경증의 삼첨판막 역류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1년 이후 추적 검사를 시행한 환자 833명을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약 4.6년의 추적 기간에 약 4%에 해당하는 33명의 환자에게서 중등도 이상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이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33명 중 30명은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였으며, 심방세동이 있으면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이 발생할 위험비가 약 8배나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심방세동이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 발생의 강력한 위험인자임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경증의 삼첨판막 역류증과 우심방의 심한 확장 소견(우심방 면적 34.3 ㎠)이 있었던 심방세동이 동반된 환자의 심초음파 이미지로, 3년의 추적 이후 중등도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으로 진행했다. 반면, 비슷한 삼첨판막 역류증이 있었으나 우심방의 확장은 없었던 다른 심방세동이 동반된 환자는 추적 시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의 역류가 악화되지 않았다.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 경증의 삼첨판막 역류증과 우심방의 심한 확장 소견(우심방 면적 34.3 ㎠)이 있었던 심방세동이 동반된 환자의 심초음파 이미지로, 3년의 추적 이후 중등도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으로 진행했다. 반면, 비슷한 삼첨판막 역류증이 있었으나 우심방의 확장은 없었던 다른 심방세동이 동반된 환자는 추적 시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의 역류가 악화되지 않았다. /이미지 제공=서울대병원

    또한, 심초음파 지표 중에서 우심방의 크기가 클수록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심실의 크기에 비해 우심방이 더 뚜렷하게 확장된 경우에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이 호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중등도 이상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이 발생한 경우 사망, 심부전, 판막질환으로 인한 수술 시행을 포함한 심혈관계 예후가 확연히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심혈관 영상저널(JACC Cardiovasc Imaging)’ 최근호에 게재됐다.

    순환기내과 박준빈 교수는 “경증의 삼첨판막 역류증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진단된 경우, 특히 우심방의 확장이 동반된 경우 중등도 이상의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 발생 위험이 높았다”며 “이번 연구 결과와 후속 연구를 통해 심방 기능성 삼첨판막 역류증의 진행 위험이 높은 환자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다면 이들에 대해 보다 면밀한 추적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적절한 시기에 진단 및 교정이 가능해져 궁극적으로 환자들의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