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대한항공, 코로나에도 지난해 흑자 달성…영업익 2383억

기사입력 2021.02.04 16:56
매출 7조4050억·당기순손실 2281억
  • 서울 소공동 한진빌딩. /한진 제공
    ▲ 서울 소공동 한진빌딩. /한진 제공
    대한항공이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지난해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4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매출 7조4050억원, 영업이익 2383억원, 당기순손실 2281억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2020년 잠정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코로나로 인한 여객수요의 감소로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40%가 줄었다. 특히 여객 매출은 전년 대비 74%가 감소했다. 하지만 화물기 가동률을 높이고 유휴 여객기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토대로, 화물 매출은 4조2507억원을 기록하며 2019년의 2조5575억원과 비교해 66% 늘었다. 코로나 진단키트와 자동차 부품의 수요가 증가했고, 일부 해운수송 수요가 항공수송으로 몰리면서 항공 화물 매출의 증가폭을 이끌었다.

    회사는 화물사업부문의 선방과 전사적인 생산성 향상, 비용절감 노력을 통해 영업흑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여객 공급 감소 및 유가 하락에 따라 연료 소모량과 항공유 비용이 낮아졌으며, 여객 운항 감소로 시설 이용료 등 관련 비용이 함께 줄어들었다. 또 직원들이 순환 휴업에 들어감에 따라 인건비도 다소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영업비용을 2019년에 대비해 40% 가량 줄였다.

    순이자비용 등의 영향으로 2281억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했지만, 전년도 5687억원의 당기순손실과 비교해 손실 폭을 대폭 줄였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국제 여객수송실적(RPK)은 전년대비 75.6% 감소했다. 국제 화물수송실적(CTK)도 11.8% 감소했다. 대부분의 글로벌 항공사들은 영업 악화를 기록했다. 델타항공,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등 미국 항공사들은 지난해 60억불~120억불 수준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을 회복하지 못했다. 전일본공수도 30억불 이상의 적자를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코로나로 여객기의 대부분이 멈춰서자 지난해 4월부터 전 직원들이 연말까지 돌아가며 휴업에 들어갔다.

    또한 여객기 운항이 급감해 화물공급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벨리(여객기 하부 화물칸) 수송이 줄었지만, 기존 23대의 보유 대형 화물기 기단을 활용해 가동률을 전년 대비 25% 높였다. 유휴 여객기를 활용하고,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해 운항하는 등 공급력을 늘렸다. 유휴여객기를 활용해 항공화물을 운송한 횟수는 연간 4500편을 넘었다.

    대한항공은 코로나 이후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진행했다. 지난해 1조1193억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했으며, 기내식기판사업을 9817억원에 매각했다. 왕산레저개발과 칼리무진도 매각 마무리 단계다. 미국 L.A. 소재 윌셔그랜드센터를 운영 중인 한진인터내셔널의 지분 매각 및 서울시와의 송현동부지 매각 협의도 추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코로나로 인한 불확실성르로 올해 항공산업 시장의 전망도 밝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에 따르면 올해 여객 수요가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과 비교해 50%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화물수요는 2019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항공은 올해 3월 예정된 3조3000억 규모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진행, 자본을 확충해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 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다만 직원들의 순환휴업은 지속된다.

    대한항공은 탄력적으로 항공화물 공급을 조절하는 등 현재 항공화물사업 전략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특히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백신수송 태스크포스를 중심으로 해 2분기부터 백신 수송에 뛰어들 계획이다. 다만 올해 하반기까지는 여객 공급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할 예정이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