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과 학생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해야 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척추, 고관절 등의 건강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오래 앉아 있어야 하는 만큼 상체를 지지하는 척추, 고관절의 피로도가 급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허리 통증, 엉덩이 통증 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뿐만 아니라 치핵, 치열 등의 항문질환을 호소하기도 한다.
만약 자리에 앉은 채 직장 업무나 공부를 할 때 꼬리뼈 통증이 두드러진다면 미골 아탈구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탈구는 관절이 파열돼 관절 사이의 접총 면이 소실된 상태를 뜻한다. 반면 아탈구는 관절이 탈구가 아닌데도 미골이 앞뒤로 휘어져서 굳어진 것을 말한다. 미골이 이러한 상태에 놓여 있을 경우 꼬리뼈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흔히 미골통이라고 부른다.
미골은 엉치뼈 아래에 달린 척추의 마지막 부분인데, 평균 4~5개의 작은 척추분절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동물 기준으로 꼬리에 해당하는 부분인데 인간은 퇴화되어 일부만 남아 있을뿐이다. 특히 오래 앉아서 미골이 눌릴수록 자극을 받아 통증 강도 역시 거세지는 것이 특징이다.
미골 아탈구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삐딱한 자세를 언급할 수 있다. 의자에 앉을 때 비스듬히 기대는 듯한 자세, 구부정한 자세, 다리 꼬고 앉기 등은 꼬리뼈를 자극하는 요인이다. 아울러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 충격을 받아 엉덩방아를 찧은 후 미골 아탈구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한다.
만약 미골 아탈구증후군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영구적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치료 타이밍을 올바르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어진 미골을 바로잡고 신체 균형을 맞추기 위해 도수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변형된 미골은 한 번의 운동치료만으로 쉽게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조금씩, 지속해서 교정하는 것이 좋다. 또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할 경우 방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시간 간격으로 일어나서 꼬리뼈 자극을 줄여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고도일병원 고도일 병원장은 "미골 아탈구증후군 증상이 악회되면 미골의 움직임에 따라 날카로운 감각 이상이 발생해 매우 고통스럽게 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방사선 촬영 후 약물치료, 도수교정치료, 주사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한데, 재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습관을 바꾸는 것도 필수"라고 전했다.
- 염도영 기자 doyoung0311@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