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드래곤의 홍채 이미지와 음원이 우주로 송출됐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인 이진준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와 글로벌 아티스트 지드래곤이 협업해 세계 최초로 미디어아트를 기반으로 한 ‘우주 음원 송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KAIST와 갤럭시코퍼레이션과 추진 중인 ‘AI 엔터테크 연구센터’의 일환으로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아티스트이자 KAIST 기계공학과 초빙교수로 활동 중인 가수 지드래곤의 메세지와 음원을 세계 최초로 우주로 송출하는 프로젝트이다.
과학기술, 예술, 대중음악이 결합된 융복합 프로젝트로 KAIST의 첨단 우주 기술과 이진준 교수의 미디어아트 작품, 지드래곤의 음성과 음원 ‘홈스윗홈’이 하나로 연결된 새로운 형태의 ‘우주 문화 콘텐츠’ 실험이다.
이번 프로젝트는‘인간 내면의 우주를 외부 우주로 확장하는 감성적 신호’를 주제로 기획됐다. 지드래곤의 홍채 이미지는 그 고유성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내면의 창으로 AI를 통해 증강됐다. 신곡 ‘홈스윗홈’은 그 감성의 진동을 담은 오디오 메시지로 결합됐다.
이진준 교수는 지드래곤의 홍채 이미지를 천년의 시간을 품은 에밀레종의 데이터를 활용한 사운드와 결합해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해 시네마틱 미디어아트 작품 아이리스(Iris)로 제작해 이날 공개했다.
이진준 KAIST 교수는 “홍채는 ‘영혼의 거울’로 불릴 만큼 내면의 감정과 정체성을 비추는 상징으로 이번 작품은 지드래곤의 시선을 따라 ‘인류의 내면으로 바라본 무한한 우주’를 표현하고자 했다”며“우주는 기술의 영역인 동시에 상상력과 감성의 무대이며 AI를 비롯한 과학의 언어로 예술을 말하고 예술의 형식으로 과학을 상상한 새로운 시도로 미지와의 조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구아현 기자 ainew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