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4월부터 알레르기 비염의 주요 원인 ‘꽃가루농도 정보’ 제공

기사입력 2021.04.05 11:07
  • 기상청이 다양한 봄꽃이 만발한 계절을 맞아 국내 ‘꽃가루농도 정보’를 제공한다. 꽃가루는 우리나라 성인의 17.4%, 청소년의 36.6%가 앓고 있는 알레르기 비염의 주요 원인(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반려동물) 중 하나로, 알레르기 결막염과 천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4월부터 10월부터 꽃가루농도위험지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수종 별로는 4월에서 6월까지는 소나무와 참나무, 8월에서 10월까지는 잡초류의 꽃가루농도위험지수를 제공 중이다.

  • 이미지=기상청
    ▲ 이미지=기상청

    ‘꽃가루농도위험지수’를 포함한 생활기상정보는 기상청 날씨누리(www.weather.go.kr >테마날씨>생활기상정보 > 보건기상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꽃가루 달력을 국립기상과학원 누리집(www.nims.go.kr > 기상기후이야기 > 꽃가루)을 통해 제공한다. 꽃가루 달력은 8개 도시에서 11년(2007~2017년)간 관측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3종의 우리나라 대표 꽃가루 유발 식물에 대해 4단계(▲조금 ▲흔함 ▲많음 ▲매우 많음)로 구분된 꽃가루 날림 정도를 알려준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올해 봄철은 기후변화로 인해 개화 시기가 앞당겨졌음을 유념하여 국민이 꽃가루농도 위험지수에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는 꽃가루농도를 사전에 확인하고 외출할 때에는 선글라스,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며, ‘매우 높음’ 단계의 경우 가능한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야 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