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열기,닫기
디지틀조선일보
검색
전체메뉴열기,닫기
검색열기,닫기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닫기
전체기사
경제
산업
유통
금융
글로벌경제
일반
모빌리티
신차
시승기
일반
사회
사회일반
오피니언
여행/문화
국내여행
해외여행
호텔/리조트
생활문화
일반
헬스
디지털헬스
제약
바이오
일반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연예
스페셜
엔터테크
뮤직테크
스포츠테크
에듀케이션
퓨처테크
일반
테크
포스텍·울산과기원,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유사 장기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포스텍(POSTECH) 김동성 교수팀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박태은 교수팀이 오가노이드를..
2024.11.19 (화)
인하대, 자율주행용 다중 클래스 광원 분류 AI 모델 개발
인하대는 배승환 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다중 클래스 광원 데이터셋과 이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AI 모델을 제안해 AI 분야 글로벌 권위 학회인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Neural..
2024.10.14 (월)
비싼 GPU 없이 AI 학습 성능 104배 높인 기술 개발
고가 데이터센터급 GPU나 고속 네트워크 없이도 인공지능(AI) 모델 학습 성능을 104배 높인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KAIST는 한동수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일반 소비자용 GPU를..
2024.09.19 (목)
POSTECH·울산대·광운대, 불소 탄성체 기반 고효율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개발
국내 연구진이 지속 가능한 전기를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조길원 POSTECH 교수, 이시영 박사 연구팀이 울산대 나노에너지화학과 이승구 울산대..
2024.08.23 (금)
중앙대, 디지털 음악 치료제 개발 …스트레스 완화 효과 입증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 딥러닝 기법을 사용해 음악이 가져다주는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중앙대는 교양대학 최수빈 교수, 지능형반도체공학과 홍철호 교수,..
2024.08.21 (수)
KAIST, 100배 정밀 빛 측정 센서 개발
KAIST 장무석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빛 측정 센서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메타 샥-하트만 파면 센서는 기존 기술보다 약..
2024.08.20 (화)
UNIST, 운행 중인 전기차 전력 공급 기술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변영재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이동 중인 차량에 끊김이 없이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 트랙'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전선으로 구성된 넓고..
2024.08.16 (금)
GIST, 국제 AI 음향 인식 대회서 오디오 소스 분리 부문 1위
국내 연구진이 국제 음향 인식 대회에서 두각을 보였다. GIST(광주과학기술원)은 오디오 지능을 연구하는 김홍국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국제 음향 장면 및 이벤트..
2024.07.09 (화)
중앙대, AI 언어학습 플랫폼 효과성 검증
중앙대는 영어교육과 이장호 교수와 이한솔 육군사관학교 교수가 공동연구를 통해 AI 기반 언어학습 플랫폼의 교육적 효과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고 21일 밝혔다. AI 기술은 최근..
2024.06.21 (금)
KAIST, GPT-4V보다 시각 성능 높인 LMM 개발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전기·전자공학부 노용만 교수 연구팀이 오픈AI의 GPT-4V, 구글의 제미나이-프로(Gemini-Pro) 등 기업에서 비공개하고 있는 상업 모델인 대형멀티모달모델(LMM)의 시각..
2024.06.20 (목)
송길태 부산대 교수팀, 환자 예후 예측하는 AI 시스템 개발
부산대 연구팀이 심장질환 등 환자의 예후 예측 결과에 대한 설명과 추가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기존 AI 시스템은 단순히 예측 결과만..
2024.06.17 (월)
포항공대·MPK·우한연구소, 홀로그램 초고속 이미징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 초고속 이미징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포항공대(POSTECH)는 김동언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막스플랑크 한국 · 포스텍연구소..
2024.06.12 (수)
GIST-서울대, 고성능 반도체 메모리 소자 강유전체 공정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100℃ 낮은 온도에서 강유전체 산화물을 확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전기분극을 나타내는 물질로..
2024.05.10 (금)
포스텍 노준석 교수팀, 소리 조절하는 음향 메타렌즈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 빛의 파동 제어를 넘어 소리를 조절하는 음향 메타렌즈를 개발했다.포항공과대학교(POSTECH)은 노준석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음향..
2024.05.08 (수)
포스텍 정대성 교수팀, 전압 변화 가능한 메모리 트랜지스터 개발
정대성 포항공과대(POSTECH) 화학공학과 교수 · 사이드 자히드 하산(Syed Zahid Hassan) 박사 연구팀이 분자스위치 말단부에 고분자 반도체와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는 두 분자를 결합해 문턱..
2024.04.29 (월)
이전
1
2
3
4
5
다음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전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