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열기,닫기
디지틀조선일보
검색
전체메뉴열기,닫기
검색열기,닫기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닫기
전체기사
경제
산업
유통
금융
글로벌경제
일반
모빌리티
신차
시승기
일반
사회
사회일반
오피니언
여행/문화
국내여행
해외여행
호텔/리조트
생활문화
일반
헬스
디지털헬스
제약
바이오
일반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연예
스페셜
엔터테크
뮤직테크
스포츠테크
에듀케이션
퓨처테크
일반
테크
KAIST, 감정노동 직군 정신건강 측정 AI 모델 개발
한미 공동 연구진이 감정노동 직군인 상담원, 은행원 근로자들 느끼는 감정적 작업 부하를 자동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KAIST는 이의진 전산학부교수 연구팀과 박은지..
2025.02.11 (화)
KAIST, 수면 무호흡증 진단 가능한 센서 개발
KAIST(카이스트) 연구진이 실시간으로 안정적인 호흡 모니터링으로 실시간 무호흡증 진단이 가능한 저전력 고속 웨어러블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했다.KAIST는 유승협 전기및전자공학부..
2025.02.10 (월)
KAIST, 폴리페놀 일종 탄니산 코팅제 탈모 예방 성능 입증
국내 연구진이 천연 폴리페놀(polyphenol)의 일종인 탄닌산이 단순한 코팅제가 아니라 탈모를 완화시키는 ‘접착 중재자(adhesion mediator)’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KAIST(카이스트)는..
2025.02.06 (목)
GIST, 변하는 수화젤 개발… 마이크로 로봇 소재로 활용 가능
빛과 DNA 가교제를 이용해 자유자재로 변형 가능한 수화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 수화젤은 마이크로 로보틱스에 사용될 수 있어 스마트 소재의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2025.02.05 (수)
포스텍, 평면 광학 한계 넘는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 평면 광학의 한계를 넘는 설계 방법을 개발했다. 스파트폰에서 카메라만 돌출되는 ‘카툭튀’ 등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포스텍(POSTECH)은 노준석..
2025.02.03 (월)
“알츠하이머 치료될까”… 포스텍·서울대병원, 뇌혈관 장벽 3D로 구현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와 신약 개발에 중요한 뇌혈관 장벽을 3D 모델로 재현했다.장진아 POSTECH(포항공과대)..
2025.01.22 (수)
사피엔반도체 "AI 글래스, CES2025를 기점으로 주목 받을 것"
"AI 글래스, CES2025를 기점으로 주목 받을 것" 사피엔반도체는 6일 이같이 밝혔다.사피엔반도체에 따르면 올해 CES는 "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이라는 주제로 변화와 혁신의 장에 뛰어들고..
2025.01.06 (월)
ETRI, 6G 초실감 네트워크 핵심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6G 환경에서 초저지연과 고정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핵심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종단 간 성능 맞춤형 단말 네트워크 스택 기술’을..
2024.12.18 (수)
최태종 전남대 교수팀, 도메인 간 차이 극복 기술 개발
최태종 전남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도메인 간 차이를 극복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반지도 학습 기반 도메인 적응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이 논문은..
2024.12.18 (수)
KAIST, AI 기반 바이오 경로 이미지 분석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으로 바이오 경로 이미지를 분석해 기존 수작업과 정확도가 비슷하면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김현욱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2024.11.28 (목)
연세대, 문제해결 돕는 AI 심리상담 챗봇 개발
문제해결을 돕는 인공지능(AI) 심리상담 챗봇이 개발됐다. 연세대는 인공지능학과 여진영·이동하·유영재 교수와 심리학과 정경미 교수가 협력해 실제 상담과 가까운 성능을 구현할 수..
2024.11.27 (수)
KAIST, 반도체 공정 흐린 영상 복원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는 흐린 영상(블러)을 복원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장무석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삼성전자 DS부문 반도체연구소와 협력해 적응형 잡음..
2024.11.26 (화)
KAIST-IBS 연구진,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기술 개발
KAIST 물리학과 야니스 세메르치디스 교수 연구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극한상호작용 연구단(CAPP)과 협력해 암흑물질 후보인 액시온(Axion)의 탐색 효율을 크게 높일 고주파 공진기..
2024.11.25 (월)
GIST, 단일세포 RNA 시퀀싱 기술 한계 극복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대학원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단일세포 RNA 시퀀싱 기술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25일..
2024.11.25 (월)
포스텍, 피부 밀착형 무선 햅틱 기술 개발
POSTECH(포스텍) 기계공학과 김진태 교수는 미국 조지아 공대(Georgia Tech) 매트 플라빈(Matt Flavin) 교수, 노스웨스턴대(Northwestern) 하경호 박사와 존 라저스(John A Rogers) 교수와 협업해 피부 밀착형..
2024.11.20 (수)
이전
1
2
3
4
5
다음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전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