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기자 수첩] 고사 위기에 내몰린 여행업, 정부 지원 확대해야

기사입력 2021.07.22 10:00
  •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심각한 위기를 맞은 여행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와 트래블 버블(여행안전권역·Travel Bubble) 등으로 국내·해외 여행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던 가운데 델타 변이바이러스와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여행업계가 다시 위기를 맞았다. 정부 지원금으로 간신히 버티고 있던 여행사들은 결국 폐업을 선택하고 있다. 매월 감당해야 하는 임대료와 관리비,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기 때문이다.

    지난 2월 한국여행업협회(KATA)가 발표한 ‘전국 여행업체 실태 전수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여행업으로 등록된 업체 202곳은 폐업했고 사실상 폐업 상태인 업체까지 고려하면 4,155곳이 코로나 사태 이후 폐업한 상태이다.

  • 지난 2월 28일 영업을 종료한 '르메르디앙 호텔'
    ▲ 지난 2월 28일 영업을 종료한 '르메르디앙 호텔'

    항공과 호텔업계의 피해도 크다. 항공기가 운항을 못하자 저비용 항공사들은 대규모 정리해고나 권고사직을 단행했고 외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하던 서울 시내 호텔들은 폐업하거나 휴업에 들어갔다. 올해 서울 강남권 5성급 호텔인 쉐라톤 서울 팔래스 호텔과 르메르디앙 호텔은 잇따라 문을 닫았고, 충남 아산에 위치한 55년 역사의 온양관광호텔도 올 연말 폐업을 결정했다. 한 때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들로 북적이던 서울 명동과 동대문 인근 호텔들은 개점 휴업 상태다.

    고사 위기에 빠진 여행업을 위해 정부도 지원 대책을 내놓고 있다. 먼저 정부는 7월부터 백신 접종자에게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항공사들은 해외 노선을 재개하고 있고 대형 여행사에서는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해외 패키지여행 상품을 내놓으며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해외여행이 하반기에도 정상화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트래블 버블 시행 초기에는 항공 운항 편수와 입국자 규모를 제한 할 수 밖에 없고, 변이 바이러스도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사진출처=한국여행업협회)
    ▲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사진출처=한국여행업협회)

    중소 여행사 관계자들은 정부가 여행업계를 외면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국회가 소상공인의 손실을 보상하는 법안을 만들면서 여행업을 일반업종으로 분류해 제외시켰기 때문이다. 이들은 집합금지 행정명령이 내려진 업종만 지원하려는 정부의 논의에 대해서는 형평성이 맞지 않다고 주장하며 여행업을 '손실보상법'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손실보상법은 국가나 공공 단체의 적법한 공권력 행사에 의해 사유 재산에 특별한 손실이 생겼을 경우 정부가 보상하는 제도로,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그 지원을 받는 대상이다. 

    정부는 추가로 지원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항공업·여행업 등 특별고용지원 업종에 대한 고용지원금 지급 기간을 현행 180일에서 90일을 추가로 지원한다. 이에 따라 항공업·여행업 등 특별고용지원 업종 사업장들은 2021년에 총 270일간 유급휴업·휴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또한, 정부 추경안에 따라 여행업은 경영위기업종으로 분류돼 매출액과 매출감소비율 등에 따라 최대 300만원의 희망회복자금을 받게 된다. 한국여행업협회에 따르면, 2020년 여행사 평균 연 매출은 전년 대비 87% 감소했다. 여행업계는 매월 임대료 등으로 나가는 비용만 평균 680여만 원으로, 연간으로 따지면 8천만 원을 넘는 수준이라 정부의 현 지원으로는 생계유지도 힘든 상황이다. 지난 20일 기획재정부 앞에서 집회를 실시한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은 "정부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해 여행업에 대한 희망회복자금을 상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여행업계는 코로나 사태 이후 1년이 훌쩍 넘는 기간 동안 정부 방역 지침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고,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 못지않은 피해를 입고 있다. 매출 제로로 인한 폐업과 휴업이 잇따르고 있고 그로 인한 실직자들도 쏟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내놓고 있는 지원 대책에 여행업계 관계자들은 불만을 토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팬데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코로나 사태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그 후유증은 사라지지 않고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들이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방어가 최선인 상황에서 확진자 수가 좀처럼 줄고 있지 않아 정부도 고심이 깊은 상황이다. 확진자 수가 크게 줄고, 백신 수급도 원활해져 접종 속도에 더욱 속도를 낼 때까지 정부는 붕괴 직전까지 간 여행업계가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현실적인 지원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