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한국 청소년 10명 중 8명은 ‘비타민D’ 결핍…낮은 골밀도 등에 직접적 영향

기사입력 2021.06.15 10:49
  •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8명은 비타민D 결핍으로, 충분한 일조량 확보와 영양 섭취를 통한 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송경철 교수팀이 연구를 통해 비타민 D와 청소년의 골밀도 및 지질 수치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비타민 D는 칼슘과 뼈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써 심혈관 질환, 종양, 자가면역질환 등과도 연관돼 있다고 알려졌지만, 성인이 아닌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비타민 D 결핍 관련 연구는 지금까지 매우 제한적이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2009~2011년의 자료를 연구한 결과, 체내의 비타민 D 수치가 충분하지 않은 청소년(12~18세)은 골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칼슘 섭취량, 신체 활동 시간,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등의 변수들을 보정한 후에도 비타민 D 수치는 여전히 골밀도와 양의 선형 관계를 보여 비타민 D가 골밀도와 직접적인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2008~2013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연구한 결과에서는 청소년(12~18세) 중 비타민 D 결핍군은 충분군에 비해 HDL(High Density Lipoprotein, 고밀도지단백질)이 저하되는 저 HDL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체중 남아에서 저 HDL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비타민 D 충분군은 12%인 것에 비해 결핍군은 17%였으며, 과체중/비만 남아에서는 비타민 D 충분군은 14%인 반면 결핍군은 22%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상지질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 중 하나로 꼽히는 만큼 관리가 필수적이다.

    아울러 한국 소아·청소년의 평균 비타민 D(25-hydroxyvitamin D) 수치는 16.28ng/ml로 미국의 25.6ng/ml보다 낮았으며, 비타민 D 결핍 비율은 79.3%로 미국(약 50%)보다 매우 높아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중 상당수가 비타민 D 결핍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 용인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송경철 교수 /사진 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 용인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송경철 교수 /사진 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송경철 교수는 “우리나라 소아·청소년들의 비타민 D 수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하루 30분가량 충분히 햇볕을 쬐는 것을 권장하며 추가로 연어, 참치, 계란, 우유 등의 음식이나 보충제 섭취를 통해 비타민 D를 보충하길 추천한다”고 전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