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이 되면 주의해야 할 것이 하나 더 늘어난다. 덥고 습해 버섯이 잘 자라는 7월부터 산행이 많은 10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는 야생 독버섯 섭취로 인한 중독 사고다. 우리나라 자생 버섯은 1,900여 종으로 알려졌으나 이중 먹을 수 있는 버섯은 400여 종(21%)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독성이 있거나 식용 가치가 없다.
특히, 식용버섯과 생김새, 서식지, 발생 시기 등이 비슷한 독버섯은 더욱더 주의해야 하는데, ‘우산광대버섯’, ‘알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은 치명적인 균독소 아마톡신이 있어 잘 살펴야 한다.
독버섯인 흰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은 식용 흰주름버섯과 모양이 비슷해 헷갈리기 쉽다. 성숙한 흰주름버섯의 주름살은 독버섯인 광대버섯류와 달리 뚜렷한 암자갈색을 띠며 대 아래쪽에 대 주머니가 발달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
-
알광대버섯 한 개에는 성인 남성 1~2명의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는 양의 아마톡신이 들어있다. 아마톡신의 치사량은 0.1mg/kg인데, 알광대버섯 한 개체는 약 10~15mg의 아마톡신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톡신은 12~24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호흡기 자극,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호흡곤란, 기침, 불면증, 설사, 위장 장애, 허리 통증, 빈뇨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간, 심장 등 여러 장기에 손상을 주어 심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맹독성인 개나리광대버섯도 식용버섯인 노란달걀버섯과 구분하기 어렵다. 노란달걀버섯은 독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과 달리 갓 둘레에 뚜렷한 홈이 있고, 치마 모양의 턱받이(버섯이 생장하면서 내피막의 일부가 대에 남은 흔적)가 담황색을 띤다.
-
잘못된 상식이나 민간 속설만 믿고 야생버섯의 식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위험하다. ▲색이 화려하지 않은 버섯, ▲세로로 잘 찢어지는 버섯, ▲곤충이나 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식용 가능하다는 속설은 아무런 과학적 근거가 없다. 또한, ▲독버섯은 대에 띠가 없다거나 ▲독버섯이라도 가지나 들기름을 넣어 요리하면 독성이 없어진다, ▲은수저를 검게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 요리는 독이 없다는 등의 속설도 믿으면 안 된다.
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생버섯을 섭취하기 전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해야 한다. 이미 섭취해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빨리 환자를 토하게 하고, 병원에 갈 때는 정확한 진단·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함께 가져가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공원식 과장은 “검증되지 않은 야생버섯 섭취는 치명적인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느타리, 팽이, 영지, 표고 등 농가에서 생산한 안전한 버섯을 먹도록 한다”고 당부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