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열기,닫기
디지틀조선일보
검색
전체메뉴열기,닫기
검색열기,닫기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닫기
전체기사
경제
산업
유통
금융
글로벌경제
일반
모빌리티
신차
시승기
일반
사회
사회일반
오피니언
여행/문화
국내여행
해외여행
호텔/리조트
생활문화
일반
헬스
디지털헬스
제약
바이오
일반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연예
스페셜
엔터테크
뮤직테크
스포츠테크
에듀케이션
퓨처테크
일반
테크
KAIST, 초장기간 뇌 삽입 칩 개발
국내 연구진이 뇌에 칩을 삽입해 뇌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삽입형 신경 인터페이스를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게 개발했다.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뇌와 기계를 연결해..
2024.04.24 (수)
GIST, ‘실시간 환경 적응 AI’ 개발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융합기술학제학부 이규빈 교수 연구팀이 AI 모델의 ‘실시간 환경 적응(Test-time adaptation)’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17일 밝혔다.AI 모델은 환경이 변하면 성능이..
2024.04.17 (수)
"우울증, AI가 대화 분석해 진단한다"
우울증을 정신과 의사처럼 대화를 통해 분석하고 진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간단히 스마트폰에 대화를 입력하거나 말하면 AI가 개인정보 유출없이 자동 분석해 사용자의..
2023.12.21 (목)
농업혁명에서 AI까지....오는 8월 31일, 'AWC 2023 in Gwangju' 개최
인류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물결을 타고 AI(인공지능) 기반의 기술 혁신을 맞이하고 있다. AI는 우리 사회 전반의 영역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농업..
2023.06.27 (화)
생명硏, 미세먼지 호흡기 감염 위험성 규명
국내 연구진이 미세먼지의 호흡기 감염 위험성을 밝혀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환경질환연구센터 이무승 박사 연구팀이 미세먼지의 병원성 미생물이 호흡기 손상 위험을 높이는..
2023.01.30 (월)
KAIST, 암세포 상태 되돌리는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폐암 세포의 전이를 막고, 치료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망률 1위 암으로 ‘공포의 암’으로 불렸던 폐암의 치료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2023.01.30 (월)
아바타 로봇 손끝엔 특별한 것이 있다
눈 앞엔 잘 익은 키위와 사과, 감이 각각 한 알씩 놓여있었다. 손에 쥐고 있는 컨트롤러의 스위치를 누르자 ‘징~’ 하는 기계음과 함께 로봇 팔이 사과를 향해 뻗어나가는 것이 두 눈에..
2022.12.19 (월)
“드론이 만드는 미래모습 보러오세요”… 벡스코, ‘드론쇼코리아’ 개최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 및 콘퍼런스인 ‘2023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3)’가 내년 2월 23일부터 3일간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다. 2016년부터 시작해 2023년 7회를 맞게 되는..
2022.12.08 (목)
“비만이 성병 헤르페스 억제한다”… KAIST 연구진 첫 규명
건강에 나쁘기만 할 것 같은 ‘비만’이 도리어 성병 바이러스의 일종인 ‘2형 헤르페스’에 억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비만이 오히려 건강에 도움이..
2022.12.06 (화)
한국인 맞춤형 ‘당뇨 위험 예측 모델’ 나왔다
한국인에 특화된 ‘제2형 당뇨’ 발병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AI) 학습 모델이 개발됐다. AI를 통한 당뇨 예측이 정확도가 높아짐에 따라 위험군에 속하는 중-노년층 건강관리에 보탬이 될..
2022.12.05 (월)
딥브레인AI, 다국어 ‘AI 앵커’ 상용화
대화형 인공지능(AI) 휴먼 기업 ‘딥브레인AI’가 한국어와 영어 모두 구사하는 ‘AI 앵커’ 기술을 상용화 단계까지 완성했다고 5일 밝혔다. 해당 기술은 지난 2일 아리랑국제방송 사옥에서..
2022.12.05 (월)
손상된 ‘힘줄’, 빠르게 측정하는 영상기법 나왔다
정형외과 주요 진료 항목 중 하나인 ‘힘줄’ 부상의 치유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영상기법이 개발됐다. 부산대는 전남대병원 공동연구진과 손상된 힘줄을 조직에서 바로..
2022.11.10 (목)
미세먼지 농도, AI로 촘촘하게 분석한다
미세먼지 농도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CCTV로 촬영된 영상 속 가시거리와 선명도 등을 AI가 분석,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는 기술이다. CCTV가 각 지역에 촘촘하게..
2022.11.10 (목)
표준硏, 기존 나노물질 독성평가법 허점 밝혀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이 나노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존 세포배양시스템의 한계를 밝혀냈다. 지금까지 쓰이던 독성평가 기준을 한층 더 정밀하게 다듬을..
2022.11.10 (목)
더덕·벌개미취, 코로나 감염 방지한다
국내 자생식물인 ‘더덕’과 ‘벌개미취’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오미크론 등 변이코로나바이러스도 거의 동일하게 감염을 억제해 추후..
2022.11.09 (수)
이전
1
2
3
4
5
다음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전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