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열기,닫기
디지틀조선일보
검색
전체메뉴열기,닫기
검색열기,닫기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경제
모빌리티
사회
여행/문화
헬스
IT/과학
연예
엔터테크
디지틀조선일보
닫기
전체기사
경제
산업
유통
금융
글로벌경제
일반
모빌리티
신차
시승기
일반
사회
사회일반
오피니언
여행/문화
국내여행
해외여행
호텔/리조트
생활문화
일반
헬스
디지털헬스
제약
바이오
일반
IT/과학
테크
정책
인더스트리
포커스
연예
스페셜
엔터테크
뮤직테크
스포츠테크
에듀케이션
퓨처테크
일반
시리즈
중국 사랑방
[중국 사랑방] 중국의 '실크로드'란?
‘실크’라는 것은 사람들의 의생활(衣生活)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그 역사가 매우 유구하다. 실크의 고향은 중국이다. 일찍이 기원전 12세기의 갑골문에 이 실크를 의미하는..
[중국 사랑방] 실크로드의 아버지 장건
기원전 2세기 전후에 현재 중국의 북부 지방은 유목민족이 주름잡던 지역이었다. 이미 진(秦)나라 말부터 이 지역에는 흉노(匈奴)족이 전체 부족을 통일하고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고..
[중국 사랑방] 上有政策 下有對策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고 공산당의 강력한 통제 때문에 자유연애 혹은 남녀간의 애정표현이 매우 보수적일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막상 중국에 살아보니 자세한 속사정까지는..
#건강지압
#단 하나의 운동
#직장인 응급대처
#24절기
#영화 속 명대사
#알고 먹자, 건강식품!
#여행 속 짧은 생각
#Travel World
#대만 여행
#우성vs.열성
#약이 되는 음식
#전설따라 삼천리
#나를 웃게 만드는 사진 한 장
#궁금한 우리말
#원작 vs. 영화
#제철건강음식
#심쿵! OST MV
[중국 사랑방] 북경에서 달래와의 재회
북경의 봄은 정말 소리 없이 찾아온다. 으슬으슬 추운 겨울이 3월까지도 시멘트 건물 사이로 어슬렁거리며 주위를 맴돌곤 한다. 여기에 반갑지 않은 황사까지 한 몫하고 나면, 봄이 와도..
[중국 사랑방] 귀신이 나타났다
내가 본 많은 중국 영화 중에 “鬼子来了”라는 제목이 있었다.(기억이 맞는다면......) 직역을 하면 “귀신이 왔다”라는 말이지만 속뜻은 “일본 놈이 왔다”이고, 좀더 솔직하고..
[중국 사랑방] 가짜 고추 사세요!
중국에서 가짜는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다. 중국인들조차 중국 상품에 대해 가짜가 많다는 것을 인정하고 물건을 살 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중국인들은 어떤 곳은 가짜가 많으니..
[중국 사랑방] 중국의 인구가 많은 이유
냉전 이데올로기가 정점에 있던 1970년대 구소련과 중국의 관계가 냉랭해졌을 무렵 미국과 중국의 외교관계에 일대 지진이 일어났다. 그토록 견고하게 유지되었던 중국의 죽의 장막을..
[중국 사랑방] 돼지를 조심하라!
중국 사람들은 세계적으로 무엇이든 먹을 수 있는 민족으로 정평이 나 있다. 그래서 자신들조차 하늘을 나는 것 중에는 비행기를, 네 발 달린 것 중에는 책상을 제외하고 무엇이든 다 먹을..
[중국 사랑방] 중국인은 미국을 싫어한다?!
1999년 봄 유고의 중국 대사관이 폭격을 당했다. 마치 작심하고 정조준한 것처럼. 당연히 중국인들은 흥분했고 미국을 증오하는 불길이 중국 대륙을 덮고도 남았다. 당시 중국의 미국..
[중국 사랑방] 아! 고구려#2
고구려의 역사가 과연 중국 지방 정권의 역사라는 중국의 입장은 최근의 중국 역사를 보면 억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나라든지 자국의 역사를 정립하고 계승하기 위해 중요한..
[중국 사랑방] 아! 고구려#1
얼마 전 외교통상부의 어느 분이 전화를 하여 `고구려를 중국어로 발음하면 `까오쥐리`라고 하던데 이 발음이 맞습니까?`라고 물어 왔다. 갑작스런 질문에 까닭을 물었더니 00신문에서..
[중국 사랑방] '한류'의 원조는 '천안문 학생운동'
1990년대 중반 이후 `한류(韓流)`라는 단어가 언론 매체에 자주 등장하였기 때문에 `한류`라는 말은 우리에게 더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다. 중국에서도 한류라는 말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중국 사랑방] 참! 거시기하네~
재작년 가을인가 `황산벌`이란 영화를 보면서 걸쭉한 전라도 버전의 사투리를 듣고 우리말의 절묘한 표현에 감탄을 하였었다. 특히 `거시기`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였던 것이 매우..
[중국 사랑방] 작은 황제를 키우는 사람들
중국에서는 법으로 한 가정에 아이를 하나만 낳을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중국에서는 이를 `지화성위(計劃生育)`이라고 한다. 이것은 중국의 엄청난 인구수와 깊은 관계가 있다. 2000년..
[중국 사랑방] 공포의 오징어볶음
`차오(炒)’는 ‘볶다’라는 뜻이고 ‘여우위(魷魚)’는 ‘오징어’라는 뜻이니 결국 ‘차오여우위(炒魷魚)’란 뜻은 ‘오징어를 볶다’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이전
1
2
다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