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자궁근종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자궁근종 환자는 2019년 43만 5,147명에서 2023년 63만 8,683명으로 약 46% 증가했다. 특히, 자궁근종은 주로 가임기 20~40대 여성에게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 세포와 섬유모세포에 생기는 양성 종양이다. 가임기 여성 3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흔하며, 대표적인 증상은 과다 월경, 골반 통증 및 압박감, 빈혈, 생식 기능 장애 등이다. 하지만, 무증상도 많아 정기 검사를 통해 우연히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궁근종은 일반적으로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크기와 위치에 따라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 골반 통증, 압박감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불임이나 임신 합병증 등 생식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산부인과 김정철 교수는 “자궁근종은 불임이나 임신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자궁 내강을 변형시키는 점막하 근종은 임신율을 낮추고 유산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자궁근종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
자궁근종의 치료 여부는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 주기적인 관찰만으로 충분하지만, 심각한 출혈이나 통증, 생식 기능 장애가 동반된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GnRH 작용제’, ‘프로게스테론 길항제’ 등 성호르몬을 조절하는 약물치료와 자궁동맥 색전술, 자궁근종절제술, 자궁절제술 등 시술‧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가임력 보존을 고려한 최소 침습적 치료법이 선호된다.
자궁근종을 예방하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운동과 적정 체중 유지, 충분한 비타민D 섭취가 자궁근종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보고가 있다. 이미 자궁근종이 있는 환자라면, 철분 섭취를 통해 빈혈을 예방하고 정기적 검진으로 관리해야 한다.
김정철 교수는 “다행히 자궁근종이 자궁육종 등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 하지만 검진만으로 두 질환을 완벽히 감별하긴 어려우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필요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며, “자궁근종은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어렵다. 이유 없이 생리 주기의 변화나 과다 월경, 골반 통증 등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후 재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도 필수”라고 당부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