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막은 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투명한 신경 조직으로, 눈에 들어온 빛의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사람의 눈에서 카메라 필름 기능을 수행하는 부위인 셈이다. 이 망막이 안구 내벽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들뜨게 되어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해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이 바로 망막박리이다.
망막박리의 원인은 다양한데 대표적으로는 노화를 꼽을 수 있다. 나이가 들면서 안구 내 유리체가 액체로 변화되고 수축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리체가 망막을 당기거나 찢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원인으로는 고도 근시와 심한 외상 등이 있다. 특히 고도 근시가 있다면 나이에 상관없이 망막박리가 일어나기 쉽다. 근시가 심하면 안구 길이가 앞뒤로 길어지면서 망막이 얇아지고, 유리체 액화 현상을 유발해 망막박리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
최보윤 샤일리안과 원장은 “이러한 망막박리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눈앞에 실과 먼지 등이 떠다니는 비문증 △눈을 움직일 때 번쩍거리는 빛이 보이는 광시증 △시야 왜곡 △시력 저하 등은 모두 망막박리의 초기 징후일 수 있으므로, 이를 경험한다면 즉시 안과에 내원해 정밀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고 덧붙였다.
망막박리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레이저 치료 등을 받을 수 있지만, 진행 범위가 넓고 안구 내에 출혈이 발생하는 등 예후가 좋지 않다면 외과적 수술인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하다. 이는 혼탁해진 안구 내의 유리체를 제거해 유리체와 섬유조직을 제거해 망막을 유착시키는 수술로 망막의 안전성 회복과 시력 개선을 도모한다.
최 원장은 “망막박리 수술에 앞서 협착성 각막 유착계, 광간섭단층촬영계, 광단층혈관촬영기, 무산동 광각 안저 촬영기 등 다양한 첨단 장비를 통해 정확한 망막 상태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맞춤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며 “또한 안과를 선택할 때는 망막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진 안과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는지, 첨단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지, 체계적인 사후관리 및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