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 생산량은 물론 온실가스 저감 효과까지 우수한 팔방미인

기사입력 2020.04.29 11:49
  • 대나무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대나무 숲(1ha)에서 연간 33.5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나무인 소나무 9.7톤, 상수리나무 16.5톤, 벚나무 9.5톤 등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 이미지=산림청
    ▲ 이미지=산림청

    대나무 한그루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연간 5.4kg으로, 대나무 922그루면 4인 가족 한 가구의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인 4.98톤을 상쇄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나무 숲은 약 22,000ha가 분포되어 있다. 이는 4인 가구 기준 약 15만 가구의 온실가스를 상쇄하는 양으로, 안양시 전체 인구(56만7천명) 이상이 가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상쇄할 수 있다.

  • 이미지=산림청
    ▲ 이미지=산림청

    대나무는 온실가스 흡수 외에 피톤치드를 다량 방출해 항염, 향균, 스트레스 조절 등 인체에 다양한 건강효과를 제공하며, 화장품 및 피부미용 소재, 전통 생활 소가구, 인테리어·조경용 소재, 그리고 관광산업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결과 대나무는 온실가스 흡수 외에 바이오매스 생산량 또한 타 수종에 비해 뛰어나, 연간 400,000톤 이상이 생산된다.

  • 이미지=산림청
    ▲ 이미지=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대나무는 이산화 탄소 저감효과뿐만 아니라 연간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일반 수종보다 3∼4배 많으며, 죽순 발생에 따라 매년 보속생산이 되므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에너지로도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