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가바, 폴리코사놀 등 새싹보리 기능 성분 함량 늘리는 기술 개발

기사입력 2020.02.18 11:27
  • 가바, 폴리코사놀, 사포나린 등 새싹보리의 기능 성분 함량을 늘리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플라즈마를 이용해 새싹보리의 생산량과 기능성 물질 함량을 올리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플리즈마는 반도체, 의료기술, 우주항공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전기에너지를 갖는 특별한 형태의 가스로, 식량 작물 연구에서는 처음 시도해 이뤄낸 성과다.

  •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보리싹 식물체 모습 및 생육 /이미지=농촌진흥청
    ▲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보리싹 식물체 모습 및 생육 /이미지=농촌진흥청

    플리즈마 처리한 보리는 종자 발아율이 최대 12.4%까지 높아졌다. 새싹보리 길이는 약 20%, 무게는 약 52% 증가했다. 플라즈마를 처리한 종자의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면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면적이 늘어나 발아율이 증가한 것이다. 보리 종자가 발아한 후 1일째에 1회 6분간 플라즈마를 처리해서 9일간 재배했을 경우 식물체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종자 표면 형태 /이미지=농촌진흥청
    ▲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종자 표면 형태 /이미지=농촌진흥청

    새싹보리의 기능 성분인 가바(GABA), 폴리코사놀, 사포나린 함량은 플라즈마를 처리했을 때 각각 약 35%, 90%, 50% 증가했다. 또한, 플라즈마를 처리해 글루타민산과 알라닌 함량이 높아지면 글루탐산탈카르복실화효소(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가 활성화되어 가바 생산이 증가하는 것도 밝혀냈다.

    농촌진흥청은 해당 기술을 특허 출원했으며, 이번 연구 결과로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능성 물질 고함유 새싹보리의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