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새 2배 이상 높아진 여름철 바다 수온, 그 이유는?

기사입력 2018.08.09 14:12
  •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수온이 1997년보다 무려 2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이 해양기상 예·특보에 활용하기 위해 우리나라 해역 17개소에 설치한 해양기상부이의 관측 결과 분석에 따르면, 한반도 전 해역의 7월 평균 표층 수온은 2010년 이후 연 0.34℃씩 상승해 수온 최초 관측해인 1997년 이후 7월 평균 수온 상승 경향인 연 0.14℃보다 약 2.4배 높아졌다.

  • 자료=기상청
    ▲ 자료=기상청

    특히, 서해는 7월 월평균 수온이 1997년 이후 연 0.17℃씩 오르다가 2010년부터 연 0.54℃씩 증가해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고, 남해와 동해의 7월 월평균 수온은 각각 연 0.30℃와 0.21℃씩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8월 평균 수온은(2017년 8월 자료까지만 분석) 2010년 이후 연 0.45℃씩 상승하였으나, 남해와 동해의 수온은 각각 연 0.36℃와 0.37℃씩 상승해 7월보다 더 크게 상승했다.

  • 이미지=기상청
    ▲ 이미지=기상청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극궤도 위성이 관측한 2016년~2018년의 7월 평균 수온 분석 결과에서도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 영역이 지속해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6년에는 7월의 평균 25℃ 등수온선(바다 표층 수온이 같은 곳을 이은 가상의 선)이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에서 나타났으나, 2017년에는 백령도와 속초, 2018년 올해에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미지=기상청
    ▲ 이미지=기상청

    최근 급격한 수온 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장기간의 폭염으로 인한 대기 온도 상승과 일사량 증가다. 지난 몇 년간 직접적인 태풍 영향을 적게 받아 해수면 아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섞여 수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또 하나의 원인이다. 이외에 북쪽이 막힌 한반도 주변 해역의 특성, 따뜻한 해류 ‘쿠로시오’와 ‘대마 난류’의 세력 강화, 주변 국가의 산업화로 인한 기후변화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바다의 어종 변화와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계속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뜨거워진 바다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해안가 침식이 우려됨에 따라, 연안 도시계획 수립 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