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인터뷰] '더 에이트 쇼' 류준열, 개인과 배우 사이…더 솔직해질 결심

기사입력 2024.05.27.18:03
  • 사진: 넷플릭스 제공
    ▲ 사진: 넷플릭스 제공
    류준열은 '더 에이트 쇼' 인터뷰에서 '솔직함'을 많이 언급했다. 이번 인터뷰는 최근 불거진 사생활, 그린워싱 논란 속에서 류준열의 솔직한 생각을 전할 기회이기도 했다. 마침 극 중 그가 연기한 3충 진수 역도 솔직한 인간 욕망을 가감 없이 드러낸 인물이었다. '더 에이트 쇼'가 공개되는 시기에 맞물려 개인적인 일까지, 류준열은 더 솔직해질 마음을 먹었다.

    지난 23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더 에이트 쇼' 주역 류준열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극 중 류준열은 빚 때문에 벼랑 끝에 선 순간 '더 에이트 쇼' 초대장을 받고 쇼에 참가하게 된 '3층', '배진수' 역을 맡았다.
  • 이날 인터뷰에 앞서 '더 에이트 쇼'가 넷플릭스 TV쇼 부문 글로벌 2위에 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기분 좋은 타이틀로 인터뷰를 시작한 류준열은 감사 인사부터 전했다.

    "너무너무 행복하다. 예전에도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해외에 나가서 '코리안 액터'라고 하면 반겨주시고, 또 아는 한국 작품들을 열거해 주시곤 한다. 제가 나온 작품 어떻게 보면 되냐고 물어볼 때면 어떤 플랫폼에는 (제 작품이) 있고, 어떤 곳에는 없고 해서 말씀드리기 어려웠다. 이제는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넷플릭스 작품을 해서 좋다. 실제 해외에 있는 친구들에게도 연락이 많이 왔다. '내가 너 친구라고 얘기하는 게 자랑스럽다'라고 하더라. 정말 행복했다."
  • '더 에이트 쇼'는 영화 '관상', '더 킹', '비상선언' 등을 연출한 한재림 감독의 첫 시리즈 연출작이다. 이미 '더 킹'에서 한 감독과 협업했던 류준열은 '더 에이트 쇼' 제안 당시 고민할 것 없이 출연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재림 감독님 기존 작품들을 관객으로서 너무 사랑했다. 영화 '더 킹' 때도 즐거웠던 기억이 있고, 한 감독님이 다음 작품으로 제안해 주셔서 정말 감사하게 생각했다. 한 번 작업했던 동료들을 다시 만났을 때의 희열과 기쁨이 있다"라고 말했다.

    '더 에이트 쇼'는 배진수 작가의 웹툰 '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을 원작으로 했다. 한재림 감독은 두 원작을 각색해 '더 에이트 쇼'를 썼다. 류준열은 작품을 제안받기 전부터 배진수 작가의 팬임을 자처하며 애정을 드러냈다. 좋아하는 감독과 작가의 만남이니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류준열은 "제가 데뷔하기 전에 배진수 작가님의 웹툰 '금요일'이라는 작품을 보면서 '굉장히 독특한 작품을 쓰시는구나. 인간의 내면을 잘 파고드는 분이시구나' 싶어서 흥미롭게 봤었는데, '더 에이트 쇼'가 그 작가님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다고 해서 기뻤다. 예사 볼 수 있는 작품은 아니겠구나 싶었고, 아니나 다를까 내 선택이 옳았구나 싶었다"라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 생을 마감하려 할 때 찾아온 기회로 '더 에이트 쇼'에 참가하게 된 '배진수'. 류준열은 지질하면서도 인간적인 3층 배진수를 이질감 없이 소화했다. 특히 사생활이라고는 없는 공간 속 일거수일투족이 CCTV로 감시된다는 설정이기에 인간의 내밀한 부분까지 연기할 수밖에 없었다. 망가짐까지 불사한 배우들의 호연이 작품의 리얼리티를 더했다.

    "저는 전혀 망가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망가졌다기보다는 솔직한 리액션이었다고 생각이 든다. 다른 참가자도 그렇지만 진수의 역할은 CCTV라는 매개를 통해 관찰당한다는 걸 강조하기 위함인데 거기서 솔직하지 못하면 작품에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솔직해야 하는 점에 우리 작품의 성패가 달렸다고 생각했다."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표현하는 것, 먹고 배설하는 걸 노골적으로 보여주는 건 인간의 시작과 끝, A부터 Z까지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이지 않았나 싶다. 다만 수위를 조절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감독님과 의논을 많이 했다. 감독님은 저보다 더 고민을 많이 하셨을 거다."
  • '더 에이트 쇼'는 한정된 공간에서 적은 등장인물이 이끄는 작품이다. 열 달 가까이 같은 세트장에서 같은 사람들만 보고 지낸 덕에 현장 분위기는 돈독해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류준열은 또래 박정민과 천우희를 언급하며 배우로서 자극을 받은 시간이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개인적으로 선배님들은 말할 것도 없고, 특별히 우희 씨와 정민 씨가 저와 또래 친구다 보니까 (배우로서) 자극을 많이 받았다. 또래 배우들이 잘 됐을 때 배로 기쁘다. 나에게도 그런 사랑을 주시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는 것 같다. 두 분은 제가 가지고 있지 않은 모습을 가지고 계셔서 현장에서도 많이 배우고 자극이 됐다."

    극 중 8인 참가자들이 개인기를 펼치는 신은 단연 화제였다. 그 중심에는 박정민(7층 역)이 있었다. 콧구멍으로 리코더를, 그것도 수준급으로 부는 '코코더' 신은 웃음과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다. 재능도 능력도 평범한 3층은 어정쩡한 자아도취 댄스로 헛웃음을 자아냈다. 당시 현장에 대해 묻자 류준열은 "정민 씨는 앞선 작품에서 피아노도 잘 치셨는데 이번에는 '코코더(코로 부는 리코더)'도 잘 하시더라. 제가 그걸 피해서 다행이었다. 코코더는 전혀 해보고 싶지 않다"라고 단호히 말했다. 이어 "저는 춤을 춰본 적이 없는데 춤춰야 하는 신이 있어서 고민이 많았다. 농담으로 말씀드리자면, 춤을 잘 춰야 했다면 이 작품을 포기해야하지 않았을까 싶다. 제가 다행히 못춰서 다행인 것 같다"라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 '더 에이트 쇼' 속 여덟 참가자는 어쩌면 스타의 삶과 닮아 있다. 카메라 너머의 누군가를 즐겁게 하고, 그 누군가에게 평가받는 삶이라는 점에서다. 류준열은 극 중 화자 역할인 3층을 연기하며 배우로서의 류준열을 돌아보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작품 공개 전 환승 연애 논란과 그린워싱 이슈로 곤욕을 치렀던 류준열은 이번 인터뷰 자리에서 솔직하게 말하고 싶었다고 운을 뗐다.

    "진수는 결국 내레이션을 통해 솔직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나. 욕도 하고 어떤 '척'을 하는 모습들이 있다. 진수를 연기하면서 저 스스로 배우라는 직업을 가지고 그렇게 살았지 않았나 싶다"라며 "(사생활) 이슈 이후에 마음이 달라진 것 같다. 이번 인터뷰 자리를 고민하면서 저도 진수처럼 속마음을 얘기하는 게 가장 빠른 길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제 마음을 제대로 전달하고 싶었도 제대로 말씀드리고 싶었다."

    류준열은 "제작발표회 때도 인터뷰 자리를 통해 말씀드리는 게 더 낫다고 생각했다. 제 의지와 상관없이 많은 추측들을 서로 공유하면서 '진실이 뭐냐'하실 때 그것에 대해 제 입장을 다 이야기하는 것보다, 그냥 거기서 생기는 비판을 제가 수용하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그 생각은 여전하다"라며 "내가 안고 가야겠다는 마음이 내면에 깔려 있었다. 그게 제 몫이라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그린워싱 논란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보이는 것에 집중해서 이미지를 가져가려고 애쓰기보다 초심으로 돌아가서 마음으로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과정이다. 꼭 이번 이슈뿐만 아니라 배우로서 끊임없이 배우고 고민해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라며 겸허한 모습을 보였다.
  • 그는 의도치 않게 작품보다 개인적인 일에 화제가 집중된 것 같다며 동료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드러냈다. 류준열은 이번 기회를 통해 지난 배우 생활을 곱씹었다.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시기에 이 작품을 보여드리고, 지금의 저를 보여드리면서 제가 놓쳤던 부분들에 대한 생각이 많아졌다. 나이가 들면서 이것도 알고 저것도 알게 됐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하면 이것도 저것도 몰랐던 거였다. 그렇게 느끼면서 고민하고 생각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