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험도, 사회·경제적 취약층이 더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 감염 시 사회·경제적 취약층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 연구팀(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진용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남현우 학생)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격차를 조사하고, 입원과 사망의 위험 요인을 식별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51,984,158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정부의 방역 정책 변화에 따라 ▲1시기(2020.1.1.-2021.2.28.) ▲2시기(2021.3.1.-2021.10.31.) ▲3시기(2021.11.1.-2022.5.31.) ▲4시기(2022.6.1.-2022.12.31.)로 나눈 시기별 코로나19 발생률, 입원율, 사망률, 치명률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에 1회 이상 감염된 이는 총 21,105,865명(40.6%, 10만 명당 40,601명)이었으며, 대부분 3시기(10만 명당 24,457명)와 4시기(10만 명당 17,529명)에 발생했다. 사망은 총 54,638명(0.11%, 10만 명당 105명), 치명률은 10만 명당 259명이었다. 사망률은 3시기에 10만 명당 65명, 4시기에 10만 명당 35명으로 후반 시기에 높았으나, 치명률은 1시기에 10만 명당 1800명, 2시기에 10만 명당 593명으로 전반 시기에 더 높았다.
의료급여 대상자는 소득이 더 높은 군보다 코로나19 발생률은 낮았으나 입원율, 사망률, 치명률은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행 후반기로 갈수록 커졌다. 의료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국가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의료급여 대상자와 건강보험 가입자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코로나19의 발생률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다소 낮았으나 입원율 약 2.6배, 사망률 약 4.7배, 치명률 약 5.8배 더 높았으며, 후반 시기로 갈수록 그 격차는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기간 의료급여 대상자의 코로나19 발생률은 10만 명당 32,737명으로 평균(10만 명당 40.601명)보다 낮았다. 다만 1시기에 평균 10만 명당 186명 발생한 것에 반해 의료급여 대상자는 10만 명당 328명으로 해당 시기의 발생률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다소 높았다. 입원율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평균(10만 명당 2,106명)보다 높은 수치인 10만 명당 5,663명을 기록했으며, 3시기에 10만 명당 3,628명으로 가장 많았다. 사망률은 의료급여 수급자가 10만 명당 498명으로 평균(10만 명당 105명) 높았으며, 특히 3시기에 10만 명당 335명으로 평균(10만 명당 65명)보다 높았다. 치명률도 의료급여 수급자가 10만 명당 1,521명으로 평균(10만 명당 259명)보다 많이 높았으며 1시기에 10만 명당 5,374명으로 평균(10만 명당 1800명)과 차이가 컸다.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여건과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사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도 시행했다. 분석 결과 입원 및 사망 위험도는 낮은 경제적 수준, 장애가 있는 경우, 동반 질환이 많은 경우, 남성, 노인, 서울 및 광역시 외 비수도권 거주자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예방접종을 한 경우 낮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의료급여 대상자의 입원 위험도는 건강보험 가입자 대비 2.55배 높았으며, 장애가 있을 경우 1.85배 더 높았다. 예방접종은 입원 위험도를 0.4배로 낮추었다. 사망 위험도는 의료급여 대상자가 1.92배, 장애가 있을 때 위험도는 1.6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 Health)’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진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단편적으로 분석된 우리나라 코로나19의 건강 영향을 망라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여러 보건학적 위기 상황이 있을 때, 코로나19 시기의 교훈을 바탕으로 더 좋은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는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모든 소득수준에서 코로나19의 낮은 치명률을 유지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저소득층, 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이 더 코로나19에 취약했고, 대유행이 진행함에 따라 격차가 커졌다.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취약계층이 건강 불평등을 겪지 않도록 대응 전략 및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