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자폐스펙트럼장애 디지털 치료제 개발한다
서울대병원이 자폐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서울대병원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이상행동 및 문제행동 디지털 치료제 개발’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약 40억 원을 예산이 투입하며, SK텔레콤, 옴니CNS, 에코인사이트, 크리모, 돌봄드림, 이모티브, 에어패스, 동국대학교 인공지능융합연구소도 함께 참여한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팀은 2024년 12월까지 ‘자폐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 완료한다는 계획으로 이번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는 ▲감각 이상 및 집착을 완화하는 XR 기반 신체활동 촉진 치료제 ▲시공간 통합 능력 및 실행 기능 향상하는 스마트토이 활용 치료제 ▲행동 억제력 결합 및 상동적 행동 집착 완화하는 모바일게임 기반 인지행동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밖에도 부모 매개 ABA(응용 행동 분석) 인지행동치료 훈련 앱, 치료자 주도 ABA 연계 디지털 치료 앱 등의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개발될 자폐스펙트럼장애 디지털 치료제는 향후 약물치료 및 행동치료 모델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이 바로 잡힐 수 있도록 새로운 치료기법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아동의 약 1~2%에서 발병하는 신경 발달장애로,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정서적 상호작용의 문제, 반복적 행동과 제한된 관심 등이 주요 특징이다. 발병 원인은 유전적·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뇌의 구조 및 기능 발달 이상과 관련된다는 보고가 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인구는 2010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3만 1천 명에 달해 10년 새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이상·문제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약물치료는 장기화할 경우 부작용 가능성이 높고, ABA 기반 행동치료는 비용 부담이 크다. 치료기관 또한 일부 지역으로 편중돼 이를 이용하는 데도 제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