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육성 전략 발표…미래 성장동력으로 총력 지원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을 총력 지원한다.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9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이 발표됐다.
고령화·만성질환자 증가,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 등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는 코로나 이후 유망한 신사업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인 산업의 한 축으로 인식하고, 집중 지원하기 위해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
디지털헬스케어 글로벌 시장은 최근 6년간 연평균 약 39% 성장(’14년 210억불 → ‘20년 1,525억불)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으며, 앞으로도 높은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특히, 해외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의료복지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유망 신산업으로 손꼽히며, 21세기 치료법(미국), 차세대의료기반법(일본), 디지털헬스케어 육성법(독일) 등 정부 차원의 제도적 기반 조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성공사례가 창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의 생태계 조성이 쉽지 않았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은 매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국내는 협소한 시장환경, 규제 등으로 인해 성장이 더딘 상황으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의 집중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국내업계는 의료·비의료 행위 간 구분, 원격진료 금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 융복합 인력의 부족 등으로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지불 주체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어 자생적인 시장 확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시장 창출 지원 강화, 데이터 기반 융복합헬스케어 기기 개발 지원, 인재 양성, 제도 개선 등 10대 중점추진과제를 마련하여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확산을 위한 기반 조성을 위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빅데이터·인공지능·메타버스 등 미래 신기술과 디지털 기반이 바탕이 되는 대표적인 디지털 융복합 산업”이라며 “금년 1월 제정된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의 산업혁신이 신속하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한 디지털헬스케어 업계 실태조사 결과,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2020년 매출 규모는 1조 3,539억원으로 파악됐으며, 그중 지능형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 매출이 7,526억원(5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