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업계, ‘2050 탄소중립’을 위해 뭉쳤다!
석유화학분야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민·관 소통 강화를 위해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동준 한국석유화학협회장(금호석유화학 사장)을 비롯해 SK종합화학, 한화토탈, 롯데케미칼, LG화학, 여천 NCC 등 석유화학 나프타분해시설(NCC) 주요 업체와 학계·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석유화학은 연간 약 71백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국내 제조업 중에서는 두 번째로 온실가스 배출이 높은 업종이다. 원료로 사용하는 납사의 열분해 과정에서 나오는 부생가스(메탄 등)를 연료로 연소하는 과정에서 CO2가 발생되고 있다.
SK는 금년 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실제 석유화학 공정에 투입하여 사용 가능성 등을 테스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석유화학은 다른 어느 업종보다도 수소, 탄소, 바이오, 신재생 에너지, 폐플라스틱 등을 원료 및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제조기술 개발이 시급하므로, 대형 R&D사업을 기획하여 이를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업계최초로 ‘2050 탄소중립성장’을 선언하고, 전체 사업장을 대상으로 RE 100(Renewable Energy 100%)을 추진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도 ‘2030 탄소중립성장’을 선언하고, 친환경 사업 등에 5조원 투자 등 ‘30년까지 친환경 부문 6조원 규모 성장 목표를 밝혔다.
SK종합화학은 그린중심의 딥 체인지(Deep Change)를 목표로 친환경 제품 비중을 2025년까지 70%이상 으로 확대한다. 여천NCC는 에너지효율 면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설비 및 공정개선에 투자 할 계획이다.
한화토탈은 프랑스 토탈社의 2050 넷제로 선언에 맞춰 세부 이행방안을 검토 중이며,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석유업계는 또한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건의사항 제시했다. 아직 연구개발 단계인 석유화학 연료 및 원료 확대기술에 대한 선제적 도입을 위해 관련 R&D 지원확대 및 투자세액 공제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또 기업들이 RE 100 추진 등을 위해 재생 에너지 전력을 원활히 도입할 수 있도록 녹색 프리미엄 요금제,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REC) 등 제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더불어 ‘자발적 에너지효율 목표제’에 참여하여 우수 사업장으로 선정된 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등 인센티브 확대를 요청했다. 배출권 거래제 관련해서 ’배출권 유상할당 경매 수익’을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활용 및 ’해외 상쇄 배출권’에 대한 국내 사용한도 확대를 요청했다.
서강대 이진원 교수는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低탄소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석유화학 탄소중립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 교수는 단기 방안으로는 설비효율향상, 촉매 등을 활용한 공정개선, 바이오 플라스틱 R&D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수소, 탄소, 바이오납사 등으로의 원료대체, 신재생에너지 전기분해로 등 연료대체 및 폐플라스틱 재활용 방안 등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민간의 탄소중립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탄소중립 산업전환 거버넌스 운영, 탄소중립 산업대전환 전략 수립, 탄소중립 산업구조 전환 특별법 제정, 대규모 R&D 사업 추진, 세제·금융·규제특례 등 탄소중립 5대 핵심과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