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내 연구진, 코로나19 무력화 항체 찾았다…빠른 백신 개발 기여 기대

기사입력 2020.03.04 15:57
  •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를 발견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CEVI(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이 기존에 알려진 사스 중화항체 2개와 메르스 중화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예측했다고 4일 밝혔다.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진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3차원 구조(A)와 사스 중화항체 (B) 및 메르스 중화항체(C) 결합 예측 /이미지=한국화학연구원
    ▲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3차원 구조(A)와 사스 중화항체 (B) 및 메르스 중화항체(C) 결합 예측 /이미지=한국화학연구원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입할 때 활용되는 단백질이다. 연구진은 이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예측한 것이다. 항체는 인체에 침입하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기 위해 우리 몸의 면역반응이 만든 일종의 무기다.

    CEVI 융합연구단은 코로나19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사스 바이러스와의 유사성을 확인했고, 기존의 사스와 메르스 중화항체가 코로나19에 결합할 수 있는지 생물 정보학 분석을 통해 예측했다.

    연구진은 긴급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이미 ‘bioRxiv’에 공개된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정보 파일을 저자로부터 전달받아 예측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기존의 사스 중화항체 2개, 메르스 항체 1개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결과를 예측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치료용 항체 및 백신 개발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이를 생물학 분야 아카이브인 ‘bioRxiv’에 2월 23일 투고했고, ‘bioRxiv’는 2월 27일 이를 공개했다. 현재 코로나19 관련 주요 연구 결과는 ‘bioRxiv’에 빠르게 먼저 공개된 후 과학저널에 게재 중이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