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정전 남신문/사진 이찬란

종묘는 유학을 통치기반으로 두어 건국된 조선왕조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봉행하던 곳이다. 우리 과거의 왕들이 모셔진 곳이라 신성하기도 한 종묘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곳이다. 무엇보다 서울에 위치한 고궁들을 방문하기 전 조선왕조의 왕들을 되새기기에 좋은 장소이며,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정전을 종묘라 하였으나, 현재는 정전과 영녕전을 모두 합쳐 종묘라 부른다. 정전과 영녕전은 장식과 기교가 절제된 외관으로 단조로워 보이지만, 이는 왕실의 제사를 모시는 공간이기에 존엄하고 신성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의도된 건축이다.


종묘 정전/사진 이찬란

종묘 정전/사진 이찬란

종묘 정전/사진 이찬란

종묘 정전 파노라마/사진 이찬란

종묘의 중앙에 위치한 정전은 왕과 왕비가 승하한 후 궁궐에서 삼년상을 치른 다음, 신주를 옮겨와 모시는 건물로, 태조의 신주를 비롯하여 공덕이 있는 역대 왕과 왕비 49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신주는 몸을 떠난 영혼이 의지할 수 있도록 나무로 만든 상징물로 신주의 상하 전후좌우로 통하는 구멍으로 혼이 머무는 곳이다. 정전 안의 신주를 비롯한 제례에 대한 신실의 정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 가면 자세히 볼 수 있다.

길게 펼쳐진 묘정 월대는 안정을, 건물 전면에 무한하게 반복되는 듯한 기둥의 배열은 왕위의 영속을, 수평으로 하늘 끝까지 펼쳐지는 듯한 지붕은 무한을 상징하며, 그 모습은 숭고하고 고전적인 건축미의 극치를 이룬다. 정전은 국보 제227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전 앞의 칠사당/사진 이찬란

정전 앞의 배향공신당/사진 이찬란

정전의 월대 아래 동쪽에는 공신당이 있고, 서쪽에는 칠사당이 있다. 공신당은 정전에 모신 역대 왕의 공신들 위패를 모신 사당이며, 칠사당은 궁궐의 모든 일과 만백성의 생활이 무탈하게 잘 풀리도록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운행과 관계되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