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타이론바이오(AbtironBio)가 한국화학연구원(KRICT)과 공동 연구를 통해 TET2 유전자를 표적화한 shRNA를 이용해 CD19 CAR-T 세포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제공=앱타이론바이오

사측은 이번 연구가 CAR-T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암세포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력을 유지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며,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에 대한 내용이 혈액암 및 면역항암 치료 분야 국제 학술지 Experimental Hematology & Oncology에 게재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기존 CAR-T 치료제는 장기적인 생존율이 낮고, 면역 회피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TET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CAR-T 세포의 항암 지속력을 증가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앱타이론바이오가 공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TET2 억제 CD19 CAR-T 세포는 기존의 CD19 CAR-T 세포와 비교했을 때 종양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면역 억제 수용체(PD-1, Tim-3) 발현이 낮아 면역 회피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암세포 제거율 및 생존율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앱타이론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다"며 "CAR-T 치료제의 기술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 성과가 차세대 면역 항암제 개발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제약사와 협업 및 기술 이전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