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호흡증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저전력 고속 웨어러블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한 유승협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최동호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유승협 교수, 김민재 신소재공학과 학사과정.

KAIST(카이스트) 연구진이 실시간으로 안정적인 호흡 모니터링으로 실시간 무호흡증 진단이 가능한 저전력 고속 웨어러블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했다.

KAIST는 유승협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초저전력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하고 마스크 내부에 부착해 이산화탄소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산화탄소는 주요 호흡 대사 산물로 날숨 내 이산화탄소 농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호흡·순환기계 질병을 조기 발견 및 진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아울러 개인 운동 상태 모니터링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기존 비침습적 이산화탄소 센서는 부피가 크고 소비전력이 높다는 한계가 있었다. 형광 분자를 이용한 광화학적 이산화탄소 센서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염료 분자의 광 열화 현상으로 인해 장시간 안정적 사용이 어려워 웨어러블 헬스케어 센서로 사용되는 데 제약이 있었다.

광화학적 이산화탄소 센서는 형광 분자에서 방출되는 형광의 세기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점을 이용하며 형광 빛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LED와 이를 감싸는 유기 포토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저전력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했다. 높은 수광 효율을 바탕으로 형광 분자에 조사되는 여기 광량이 최소화된 센서는 수 mW 수준을 소비하는 기존 센서에 비해 수십 배 낮은 171μW의 소자 소비전력을 달성했다.

연구팀은 또한 이산화탄소 센서에 사용되는 형광 분자의 광 열화 경로를 규명해 광화학적 센서에서 사용 시간에 따라 오차가 증가하는 원인을 밝히고 오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광학적 설계 방법을 제시했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팀은 기존 광화학적 센서의 고질적 문제였던 광 열화 현상에 따른 오차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 동일 재료에 기반한 기존 기술은 20분 이내인데 반해 최대 9시간까지 안정적으로 연속 사용이 가능하며 이산화탄소 감지 형광 필름 교체시 다회 활용도 가능한 센서를 개발했다.

개발된 센서는 0.12 g으로 가볍고 0.7 mm으로 얇으며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마스크 내부에 부착돼 이산화탄소 농도를 정확히 측정했다. 또 실시간으로 들숨과 날숨을 구별해 호흡수까지 모니터링 가능한 빠른 속도와 높은 해상도를 보였다.

유승협 KAIST 교수는 "개발한 센서는 저전력, 고안정성, 유연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어 과탄산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수면 무호흡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면서 “특히 분진 발생 현장이나 환절기 등 장시간 마스크 착용 환경에서의 재호흡에 따른 부작용 개선에도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ˮ 라고 밝혔다.

김민재 신소재공학과 학사과정, 최동호 전기 및 전자공학부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셀 자매지인 '디바이스' 온라인판에 지난달 22일 공개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한국연구재단 원천기술개발사업, KAIST 학부생 연구참여 프로젝트 (URP) 프로그램 지원 받아 수행됐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