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궁경부암은 국가 검진과 백신접종의 활성화로 환자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지난 10년간 자궁경부암 전 단계인 자궁경부이형성증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이형성증은 HPV에 감염된 후 자궁경부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자궁경부암 전 단계로 분류된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산부인과 경민선 교수가 자궁경부이형성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산부인과 경민선 교수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통해 15세 이상 자궁경부이형성증 환자 3만 5,000명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궁경부이형성증 환자수는 2009년 1,000명당 3.74명에서 2018년 8명으로 10년간 2.14배 증가했다. 특히 10년간 매년 모든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궁경부암 신규 환자 수는 2009년 3,849명에서 2018년 3,550명으로 8% 감소했다.

자궁경부이형성증 평균 발생률은 1,000명당 5.63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가 8.53명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5~49세 8.24명, 40~44세 8.08명, 35~39세 8.07명 순이었다.

경민선 교수는 자궁경부이형성증 발생률의 증가 원인으로 ▲첫 성 경험 나이 감소 ▲활발한 성생활 증가 ▲국가 암 검진 확대로 자궁경부암으로 가기 전 이형성증 단계에서 진단 증가 ▲HPV 백신 도입으로 인한 인식 개선 및 자궁경부암 세포 검사 기회의 증가를 꼽았다.

이번 분석에서는 기저질환이 많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궁경부이형성증 발생률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경 교수는 “HPV는 감염돼도 대부분 2년 안에 자연적으로 사라지지만 약 10%가량은 잔존하여 자궁경부이형성증을 발생시킨다”며, “기저질환이 많은 환자일수록 HPV가 사라지지 않고 자궁경부이형성증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저질환이 많거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을 기회가 더 많아진 것도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자궁경부이형성증은 1~3단계로 나뉜다. 1단계에서는 대부분 경과 관찰을 하지만, 2단계부터는 자궁경부를 원추 모양으로 절제하는 원추 절제술을 받게 된다. 원추 절제술을 받으면 임신 중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인한 조산 위험이 대략 10~15% 증가해, 임신 초기에 자궁경부를 묶는 예방적 봉축술 시행으로 조산을 예방하고 있다.

경 교수는 “이번 장기간은 자궁경부이형성증 데이터 분석 결과는 향후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을 예측하고 2016년 이후 시작한 국가 백신 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며 “자궁경부이형성증 예방을 위해서는 자궁경부암 검진율을 높이고 특히 HPV 감염에 취약한 기저질환이 있는 여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등 자궁경부암백신 접종 및 정기 검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