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등…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5개 사업 시행
인공지능(AI) 등 첨단정보기술을 활용한 5개의 공공서비스 사업이 시행된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올해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으로 5개를 선정하고 총 38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행안부와 사업 주관 기관인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5월 말까지 5개 주관기관과 함께 사업자 선정을 완료하고, 11월 말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5개의 사업은 ▲미세먼지 사물인터넷(IoT) 측정 및 인공지능 기반 대응시스템, ▲국립공원 스마트 재난안전 통합 플랫폼, ▲실시간 재난 응급상황 공유 플랫폼, ▲인공지능 기반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등이다.
서울시 도봉구는 ‘인공지능 기반 미세먼지 대응시스템’을 구축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미세먼지 정보를 분석·활용한다. 도봉구는 관내에 100여 개의 사물인터넷(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하고, 수집한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광판 등 대민 서비스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새롭게 구축하는 인공지능 기반 도로청소차량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청소차 운행경로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국립공원공단은 첨단정보기술을 적용한 ‘재난상황 공유·관리 플랫폼’을 구축해 전국 22개의 국립공원에서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인명구조 등에 적극 활용한다. 국립공원 재난상황 공유·관리 플랫폼은 각각의 국립공원에 산재되어 있는 11종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단일 업무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시설물 위치 및 관측정보 등의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3D 지리정보체계(GIS) 기반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고, 보안카메라(CCTV) 영상 이미지 분석, 드론 영상 관제 등 재난상황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상황인지와 인명구조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대전광역시 소방본부는 재난상황 발생 시 민·관 정보공유를 통한 상호협력 및 지능형 지원체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개방형 응급상황 공유 플랫폼’을 구축한다. 재난 시 상황실의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분석·대응 서비스를 구축하고, 음성인식을 통해서 신고자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관련 시설 및 대응방법 등 연관정보를 분석·제공하여 재난 의사결정을 돕는다. 또한, 번역 기능을 추가해 외국인 신고에 대한 실시간 통·번역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시 성동구와 경상남도 김해시의 ‘인공지능 기반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는 복잡한 민원서식 작성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종이 서식이 아닌 키오스크를 활용하여 서식을 작성하고, 마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민원서식 항목을 자동으로 채우는 서비스로 민원인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행안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해 온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과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프로젝트 시범사업에서 사업 효과성이 검증되고, 파급 효과가 높은 사업을 선정해 올해 전국으로 확산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