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freepik

반월상연골판은 허벅지 뼈와 정강이 뼈 사이에 자리한 연골판 구조물로 관절 위뼈와 아래뼈가 직접 맞부딪히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관절액을 골고루 뿌려 주는 중요한 임무도 맡고있다. 문제는 이러한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어 퇴행성관절염이라는 불상사를 맞이하는 환자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일상생활 속 무릎 통증을 가볍게 여겨 방치했다가 시간이 지나 연골 손상으로 이어지는 안타까운 케이스인 셈이다.

반월상연골판은 관절 내부와 바깥 부위에 각각 하나씩 자리하고 있다. 마치 초승달 모양처럼 생겼다 하여 반월상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연골을 보호하는 튼튼한 구조물이지만 지나치게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관절뼈 사이에 연골판이 끼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반월상연골판파열은 낙상 등 외부 충격보다 비접촉성 손상에 의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즉, 무릎 관절 자체에 무리한 회전 운동이 가해지거나 비만, 착지 등으로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내리막 길에서 지나치게 빠른 템포로 내려올 때 역시 마찬가지다.

고도일병원 방형식 원장/출처=고도일병원

반월상연골판 주요 증상으로 극심한 무릎 통증을 꼽을 수 있다. 아울러 무릎 안에 물이 차는 느낌, 무릎 안에서 무언가 걸리는 느낌,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운동 장애를 경험한다. 또 일상생활 속에서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을 수시로 받는다.

더욱 큰 문제는 반월상연골판파열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앞서 언급한 것처럼 무릎 관절 내 연골 손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실제로 반월상연골판파열 사실을 까맣게 모른 채 방치하다가 외과적 손상을 입는 이들이 많다. 반월상연골판 파열 상태를 오래 방치하면 무릎 충격이 제대로 분산되지 않아 큰 통증을 일으킬 뿐 아니라 무릎 관절 운동의 불안정 상태가 지속돼 연골 마모 현상을 부추긴다.

따라서 반월상연골판파열 증상이 의심되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증상 정밀 검사 방법으로 엑스레이 촬영, 초음파 검사, 관절내시경,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을 꼽을 수 있다.

정밀 검사 결과 반월상연골판파열 초기 상태로 진단이 내려졌다면 압박 붕대, 부목, 소염제 등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손상 정도가 심하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판 절제술, 반월상연골판 봉합술, 이식술 등을 시행해야 한다.

고도일병원 방형식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반월상연골판 어떤 부위가 파열됐는지 여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는데, 혈류 공급이 원활한 부위라면 파열된 곳을 봉합하여 치료할 수 있다. 만약 혈류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재파열 우려마저 높다면 조직 절제술을 시행한다. 절제술 이후 무릎 통증 및 부종이 지속된다면 반월상연골판 이식술을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