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마스크 5부제 시작! 마스크 구매 방법 및 올바른 재사용 방법은?
3월 9일, 마스크 5부제가 시행된다. 장기화하고 있는 코로나19로 인한 보건 마스크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이에 앞으로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공적 공급 마스크는 주민등록 출생연도의 끝자리에 따라 정해진 요일에만 일주일에 1인당 2매씩 구매할 수 있다. 우체국과 농협에서는 중복 구매 확인 시스템 구축 때까지 1인 1매만 판매한다. 우체국과 농협은 오는 16일부터 마스크 5부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5부제 마스크 구매 방법
5부제에 따른 공적 공급 마스크를 구매하려면 주민등록상의 태어난 해의 끝자리에 따라 살 수 있다. 예를 들어 1962년생은 화요일, 1985년생은 금요일에 마스크를 살 수 있으며,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출생연도에 상관없이 주중에 못 산 사람이 살 수 있다.
월요일: 1, 6
화요일: 2, 7
수요일: 3, 8
목요일: 4, 9
금요일: 5, 10
토요일·일요일: 주중에 못 산 사람
또한, 마스크 구매를 위해서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적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주민등록증이 발급되기 전 아이들은 여권이나 학생증+주민등록등본을 갖고 가야 하며, 여권이나 학생증이 없는 아이들은 부모의 5부제 날짜에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하고 함께 줄을 서서 살 수 있다. 외국인은 건강보험증과 외국인등록증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
장애인, 장기요양급여 수급자와 2010년 이후 출생한 어린이, 1940년 이전 출생한 어르신은 주민등록상 동거인이 대리 구매할 수 있다. 대리 구매는 어린이 등 대상자의 5부제 요일에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출생 자녀의 마스크는 수요일에 살 수 있다. 대리 구매 시에는 대리 구매자 본인의 신분증과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기재된 주민등록등본, 복지카드 또는 장애인등록증, 장기요양인정서 등 대리 구매 대상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함께 가져가야 한다.
어떤 마스크를 써야 할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감염의심자와 접촉 등 감염 위험성이 있는 경우 및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 보건용 마스크 사용을 권고했다.
▲코로나19 의심자를 돌보는 경우는 KF94 이상의 보건 마스크를 써야 한다.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우, ▲기침, 콧물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감염, 전파 높은 직업군 종사자(대중교통 운전사, 판매원, 역무원, 집배원, 택배기사 등), ▲노인, 어린이, 임산부, 만성질환자 등 건강 취약계층, 만성 폐 질환, 당뇨, 만성 신질환, 만성 간 질환, 만성 심혈관질환, 혈액암, 항암치료 암 환자, 면역억제제 복용 중인 환자 등 기저 질환자 등이 환기가 잘 안 되는 공간에서 2m 이내 다른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는 KF80 이상의 보건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하지만, 감염 우려가 낮거나, 보건용 마스크가 없는 경우에는 면 마스크(정전기 필터 교체포함) 사용도 도움이 되며, 혼잡도 낮은 야외, 가정 내, 개별 공간은 마스크 착용이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방법
마스크는 올바른 착용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 마스크를 사용할 때는 ▲착용 전 손을 깨끗이 씻고, ▲입과 코 완전히 가리며 ▲수건이나 휴지를 덧대지 않아야 한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마스크 재사용 방법
보건용 마스크는 1회 사용을 원칙으로 하지만, 요즘같이 마스크를 구하기 어려울 때는 재사용이 불가피하다. 마스크는 ▲오염 우려 적은 곳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한 마스크를 동일인에 한해 재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 재사용을 위해서는 ▲사용 후 환기 잘되는 곳에서 건조 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마스크를 ▲헤어드라이어로 건조하거나, ▲전자레인지 또는 알코올 소독 ▲세탁하는 것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