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틀조선TV 선정 부동산 10대 뉴스] 분양가 상한제부터 고강도 대출규제까지
올해 건설‧부동산업계는 4년 만에 부활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부터 12·16 부동산까지 그 어느 때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강력했던 시기였다.
각종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공급물량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3기신도시 계획을 발표하는 등 새로운 주거대책을 함께 내왔다. 비롯해 서울 4만호 공급대책을 내세웠다.
재개발 시장에서는 강북 최대 재개발 사업으로 꼽히는 '한남3구역'이 시공사 선정에 관심이 쏠렸으나 시공업체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결국 '재입찰' 이라는 다소 싱거운 결과를 낳았다.
건설업계는 대형건설사들이 오랜 상징과도 같은 브랜드를 과감히 버리고 새 브랜드를 런칭했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최첨단 아파트를 선보였다.
2019년을 마무리하면서 건설‧부동산업계 올해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10가지 뉴스를 정리했다.
(1) 4년 만에 부활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정부는 지난 11월 6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을 발표했다. 서울은 강남4구 22개동과 마포구 1개동, 용산구 2개동, 성동구 1개동, 영등포구 1개동 등 모두 27개동이 지정됐다.
이후 국토교통부는 지난 16일 분양가상한제 대상지역을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마포·용산·성동·영등포·동작·양천·서대문·중·광진 등 13개 구의 전체와 정비사업 이슈가 있는 강서·노원·동대문·성북·은평구 등 서울 5개 구, 37개 동을 상한제 대상 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또한 수도권에서 집값 상승을 주도한 과천·광명·하남시의 총 13개 동도 상한제 대상에 포함했다.
민간 분양가상한제 적용 대상 지정 이후 제외된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폭등하면서 '풍선효과'부작용이 나타나자 후속 조치로 적용 대상을 넓힌 것이다.
지난 2015년 폐지된 이후 4년 만에 부활한 분양가상한제는 재개발·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내년 4월 29일 이후 입주자 모집공고를 신청한 단지는 분양가가 제한되고 5∼10년의 전매제한과 2∼3년의 실거주 의무를 부여받는다.
전문가들은 "민간 분양가상한제 정책 자체가 주택 수요자들이 원하는 지역의 새 아파트 공급을 위축시킬 수 있는 만큼 상한제 적용 대상 확대가 집값 안정을 위해 결코 바람직한 정책이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2) 새 아파트 브랜드의 등장…리뉴얼 바람
건설업계는 대형건설사들이 오랜 상징과도 같은 브랜드를 과감히 버리고 새 브랜드를 런칭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현대건설은 '힐스테이트' 브랜드 콘셉트와 디자인을 변경했다. 대우건설 역시 '뉴 푸르지오'를 선보였으며 한화건설은 지난 2001년부터 사용했던 '꿈에 그린'을 새로운 주거 브랜드 '포레나(FORENA)'로 변경했다.
대림산업은 한강변 최고가 아파트 브랜드로 명성이 높은 '아크로(ACRO)'의 리뉴얼을 선언하고 아크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비롯해 콘셉트 등을 재정비했다.
(3) 서울 강남 버금가는 마용성 급부상올해는 서울 마포구와 용산구, 성동구를 합쳐 부르는 말로 '마용성'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이 지역은 한강을 바라보고 있는데다 서울 도심과 강남 등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 강남권과 더불어 주거 선호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최근 뉴타운 등 재개발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30~40대 실수요자들이 실거주과 시세차익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하면서 일명 '갭투자' 수요가 몰리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부동산 대책을 통해 '마용성' 지역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4) 진화하는 아파트 말 한마디로 '척척'
국내주요 건설사들은 미래 아파트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최첨단 아파트를 선보이고 있는 추세다.
GS건설은 지난 11월 업계 최초로 국내 모든 통신사 음성 엔진과 연동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자이 AI 플랫폼'을 구축했다.
'자이 AI플랫폼'은 기존의 홈네트워크에서 한발 더 나아가 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빅데이터 솔루션으로 취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고객 만족형 플랫폼 서비스다.
포스코건설 역시 지난 21일 개관한 부산 '더샵 온천헤리티지' 모델하우스에 스마트기술 브랜드인 '아이큐텍(AiQ TECH)'을 도입했다.
'아이큐텍(AiQ TECH)'은 AI와 지능적인 감각(IQ)을 융합한 스마트기술로 통합형 월패드와 음성인식 스피커, 무인택배시스템, 대기전력차단시스템, 디지털도어락, 스마트폰 원패스시스템 등의 스마트 기술도 적용됐다.
(5) 지상 105층 'GBC' 건축허가…내년 착공
서울 삼성동 부지에 들어서는 국내 최대 높이의 현대자동차그룹 신사옥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가 내년 상반기 착공을 앞두고 있다.
GBC는 현대차가 3조7000억 원을 투자해 서울 강남구 옛 한국전력 부지에 지하 7층에서 지상 105층 규모로 짓는 신사옥으로 지난 2014년 9월 현대차그룹이 한전 본사 땅을 매입한 이후 5년 만에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현대차는 이곳에 국내 최고층 건물과 업무시설, 숙박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관광휴게시설, 판매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6) 로또 청약 열풍…치솟은 당첨 가점
서울 강남권 분양단지를 중심으로 확산되던 '로또청약' 열풍이 올해는 비강남권까지 퍼졌다. 특히 신축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서울의 청약 경쟁률은 수백 대 1까지 치솟았다.
서울에서 선보인 청약 단지의 당첨 평균 점수는 60~70점 수준이며, 당첨 마지노선인 최저 가점도 대부분 50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최고 평균 가점 단지로 기록된 곳은 지난달 청약에 나선 서울 서초구 잠원동 소재 '르엘 신반포 센트럴'이다. 르엘 신반포 센트럴의 평균 당첨가점은 70.3점에 달한다. 전용면적 59㎡와 84㎡에서는 청약 최고 가점이 무려 79점을 기록했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을 확대할 수 있다는 추가 발표가 나오면서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청약 가점 상승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7) 강남 아파트 '3.3㎡당 1억원 시대'
올해는 아파트 가격 급등 현상이 눈에 띄게 확산되면서 단위면적 '3.3㎡당 1억원 시대'가 열렸다.
실제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는 지난 8월 전용면적 59.95㎡가 23억9800만원에 거래된 데 이어 2개월 만인 지난 10월 전용면적 84㎡의 매매가가 34억원을 기록하며 '3.3㎡당 1억원을 넘어섰다.
2013년 분양당시 84㎡ 가격이 13억 원 대임을 감안하면 불과 7년 만에 두 배 이상 가격이 뛴 셈이다.
잠실 리센츠 아파트 전용면적 84.99㎡는 지난달 20억1000만 원에 거래돼 송파구에서 첫 20억원 대 아파트로 기록됐고 지난 11월 잠실 엘스의 59㎡ 아파트도 16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8) "집값 잡겠다" 고강도 12·16 부동산대책
정부는 지난 16일 15억원 이상의 초고가 아파트의 경우 대출을 전면 금지하는 12‧16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서울 집값 상승세를 저지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제대로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12‧16 부동산대책에 따라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역에 한해 9억원 이하의 경우 LTV는 40%, 9억 초과는 20%가 적용된다. 또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사람이 9억원 이상의 집을 보유한 소유주거나 두 채 이상을 가진 다주택자로 확인되면 기존 대출금이 전액 회수된다.
한국감정원은 이에 대해 "12·16 부동산대책 영향으로 고가 아파트에 대한 매수심리의 급격한 위축, 관망세 확산 등으로 서울 25개구 가운데 21개구가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9) 신혼부부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감면 혜택 연장
서울시는 지난 10월 18일 3년간 3조원을 투입해 연간 2만5000쌍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서울시 신혼부부 주거지원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신혼부부에 대한 금융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임대주택 입주물량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금융지원은 무주택 부부에게 전·월세 보증금을 최대 2억원까지 시중보다 낮은 이자로 빌려주고 임대주택은 공급 물량은 연평균 2445호를 추가해 매년 1만4500호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서울시는 혼인 신고는 하지 않았지만, 함께 살면서 사회 통념상 부부로 볼 수 있는 '사실혼 부부'도 같은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추후 조례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10) 청년주택 '인기몰이' 사업 다각화
올해 서울시 부동산 시장에서는 역세권 청년주택이 큰 인기를 모았다.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은 뛰어난 대중교통 여건을 갖춘 역세권에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을 대상으로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제공된 임대주택이다.
역세권 청년주택 공공임대 입주 대상은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으로서 차량 미운행자로 이들은 2년마다 갱신을 통해 최장 6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특히 신혼부부는 자녀가 1명일 경우 8년, 2명 이상일 경우 1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혁신방안'을 통해 역세권 청년주택 중 청년과 신혼부부 주택의 비중을 40∼70% 수준으로 대폭 늘리고, 이를 모두 주변 시세의 50% 이하 임대료로 공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