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에서도 매너는 필요하다…한국인은 '소음'에 가장 민감해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 떠나는 여행이지만 비행기에서 예상치 못한 사람들로 인해 기분을 망치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은 비행기 내 에티켓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익스피디아가 여행 매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전 세계 23개국 남녀 18,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한국인 응답자 600명)
한국인 여행객, “소음으로 휴식 방해 받고 싶지 않아”
한국인 여행객은 휴식을 방해하는 소음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했다. 기내에서는 낯선 이와 교류하는 대신 혼자 조용히 시간을 보내기를 원했다.
한국인은 옆 좌석에 수다스러운 승객이 타는 것(87%)을 꺼려했다. 약간의 대화는 좋지만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고 싶다(87%)고 답했다. 옆 좌석 승객과 대화하는 경우(28%)도 드물었다. 반면, 인도인(60%)과 멕시코인(59%)은 옆 좌석 승객과 비행 내내 대화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국인 여행객은 아이가 내는 소음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아이가 울면 부모가 주변 승객들에게 사과해야 한다(56%)고 답했다. 반면, 일본인은 5명 중 1명(19%)만이 부모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국인은 숙소에서의 소음에도 민감했다. 객실 내는 물론, 객실 외 공간에서 시끄럽게 하는 투숙객을 최악의 사례로 꼽았다. 세계인의 꼴불견 1위는 아이를 방치하는 부모 여행객이었다.
비매너 여행객 만나면? “관계자 통해 원만히 해결하지만, 나설 땐 나선다”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 여행객들은 여행 중 발생하는 곤란한 상황에서 직접 나서기 보다는 관계자를 통해 원만히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비행기에서 절대 하지 않을 행동으로 다른 승객이나 승무원과 논쟁을 일으키는 것(85%)을 꼽았다.
한국인은 뒷자리 승객이 좌석을 발로 차거나 다른 이들에게 무례한 승객을 발견할 경우 승무원을 통해 해결한다고 답했다. 호텔에서도 관계자를 통했다. 옆 객실의 투숙객이 시끄럽거나(77%), 다른 투숙객이 수영장에서 소란을 부릴 때(56%) 호텔 매니저를 찾았다.
한편, 관계자가 곤란한 상황에 처할 때에는 용감하게 나서겠다는 이들이 많았다. 한국인 10명 중 3명(30%)은 승무원에게 무례한 승객이 있다면 직접 제지하겠다고 답했다. 글로벌 평균(28%)보다 높은 수치다. 일부 국가는 절반 이상이 못 본 척 무시하겠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한국인 여행객은 호텔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는 투숙객을 발견했을 때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10명 중 8명(79%)은 호텔에 알리겠다고 답했고, 2명(18%)은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답했다. 전체 평균(각각 59%, 14%)보다 높은 수치다. 일부 국가들은 2명 중 1명 꼴로 못 본 척 무시하겠다는 의견을 보였지만, 한국인 여행객(8%)은 그렇지 않았다.
세계인의 에티켓 “무거운 짐 옮겨주기, 좌석 바꿔주기, 여행 팁 공유하기”
기내에서 친절을 베풀었던 경험에 대해 물었다. 다른 여행객이 무거운 짐을 옮기는 것을 도왔다(41%)고 답한 이들이 가장 많았다. 따로 앉게 된 일행을 위해 좌석을 바꿔주거나(29%) 여행 팁이나 추천 정보 등을 공유(25%)한 경험이 뒤를 이었다.
반면 한국인 여행객은 숙소에서는 다른 여행객과의 교류가 적은 편이었다. 오스트리아(49%), 독일(45%) 등 유럽 지역 응답자들이 적극적으로 다른 투숙객에게 여행팁을 공유하는 반면, 한국인 여행객은 23%에 그쳤고 2명 중 1명(51%)은 호텔에서는 친절을 베풀어본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일본인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내 여행 소중한 만큼, 다른 여행객에도 피해주지 말아야
한국인은 다른 여행객에게 피해가 되는 행동을 자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냄새가 심한 음식을 기내에 반입(16%)하거나 일행과 함께 앉기 위해 다른 승객에게 자리를 바꿔줄 것을 요청(13%)하는 이들은 소수에 그쳤다. 전체 응답자 평균(각각 21%, 20%) 대비 낮은 수치다.
항공 에티켓도 비교적 잘 준수했다. 기내 수화물 규정을 어기거나(4%), 무료로 좌석 업그레이드를 요구(5%)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글로벌 평균보다 약 1.5 배 적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