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 사진=문화재청 제공

1500년 전 백제 금동신발이 2년여 만에 온전한 모습으로 되살아났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 12월 전남 나주 정촌고분 돌방(석실)에서 출토된 5~6세기 금동신발을 원래 모습을 최첨단 기술과 전통 공예기술로 복원했다고 3일 밝혔다. 정촌고분에서 발굴된 금동신발은 지금까지 나온 금동신발들 가운데 가장 화려하고 완벽한 모양새를 갖춰, 발견 당시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던 유물이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유물의 최초 발견부터 보존처리까지 1년여가 걸렸고, 금동신발의 재료학적 특징과 제작기법을 밝히기 위해 3차원 입체(3D) 스캔, 엑스선과컴퓨터단층촬영법(CT) 등 최첨단 기법이 쓰였다.
분석작업 결과를 살펴보면, 금동신발의 몸판을 두께 0.5mm의 구리판에 5~10㎛(1㎛=1/1,000mm) 두께로 순금(99%)을 입혀 만들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발등 부분의 용머리 장식을 비롯해 금동신발 바닥과 옆 판에서 발견된 다양한 문양(연꽃, 도깨비, 새 문양 등)은 백제의 전통적인 금속공예기법 중에서도 난이도가 높은 투조기법(금속판 일부를 끌이나 톱으로 도려내는 기법)과 축조기법(금속판에 쐐기 모양 삼각형을 새긴 자국으로 선을 그려가는 기법)을 이용해 만들어졌다는 것도 밝혀냈다.
복원된 금동신발은 나주연구소에서 일반인들에게 상설전시될 예정이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