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진단검사 시 작성하는 전자문진표가 통합, 간소화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진단검사 정보시스템을 2월 7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개편한다고 밝혔다.
오는 7일에는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로 나누어진 전자문진표 입력 항목이 통합되며, 문항도 기존 25개에서 14개로 줄어 한결 간편해진다. 14일에는 신속항원검사 접수 시 전자문진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추가 개편할 예정이다.
-
전자문진표는 선별진료소 또는 임시선별검사소에 방문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자문진표 접속용 큐알(QR)코드 인식 또는 웹 탐색기에 전자문진표 접속 주소(URL) 입력 후, 간단한 인적사항(이름, 주소, 연락처 등)과 증상을 기재하고 검사이유를 선택하면 완료된다.
스마트폰이 없거나 QR코드 활용이 어려운 어르신과 장애인 등 노약자들은 전자문진표 대신 선별진료소 또는 임시선별검사소에 비치된 종이 문진표로 작성할 수 있다.
선별진료소 또는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신속항원검사(RAT)를 받은 후 검사 결과 양성이 나와 PCR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PCR 검사를 받기 위한 전자문진표는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중앙방역대책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2번의 서비스 개편 후 각각 1주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 의견을 반영하고 미비한 기능을 보완하면서 시스템을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보시스템 개선을 통해 코로나19 대응 역량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
최신뉴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dizz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