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타, 2025 먹는물 실태 조사 발표…‘설치형 정수기’ 가장 많이 이용한다
독일 친환경 정수기 브랜드 브리타가 이달 5일부터 9일까지 국내 성인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먹는물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음용수 유형은 설치형 정수기(47%)였다. 이어 생수(30%), 미니 정수기(2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을 마실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최대 2개까지 선택한 결과 안전성/신뢰성(52%)과 물맛(44%)을 꼽았다.
특히, 생수 이용자들은 ‘페트병 쓰레기 분리배출의 번거로움’(63.3%)을 가장 큰 불편함으로 지적했다. 그 밖에도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27%)에 대한 우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수를 선택하는 주된 이유는 ‘기기 관리가 필요 없는 편리함’(73.3%)이었으나, 일회용품 처리와 환경 영향에 대한 부담이 생수 사용의 주요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약 90%가 브리타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브리타 사용자들은 ‘일회용 분리배출이 필요 없는 간편성’(54.5%)과 ‘플라스틱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성’(45.5%)을 주요 장점으로 꼽았다. 또한, 브리타 사용자 중 70% 이상이 기존에 생수를 주로 이용하다가 브리타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타 사용 만족도는 80% 수준으로, ‘간편성’과 ‘친환경성’ 외에도 ‘경제성’(42.4%)과 ‘물맛’(33.3%) 등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브리타는 필터 1개로 최대 150L의 물을 정수할 수 있어, 500mL 생수병 300개에 해당하는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2030 세대 응답자 중 40% 이상이 ‘경제성’을 중요한 요소로 꼽았으며, 이들의 미니 정수기 이용 비율은 40대 이상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젤로 디 프라이아 브리타 코리아 대표는 “브리타는 생수의 분리배출 불편함과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선택”이라며, “특히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안심할 수 있는 음용 솔루션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