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바람이 많이 부는 건조한 겨울철에 외출만 하면 눈물이 흘러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은 딱히 슬프지 않은데도 이유 없이 눈물이 줄줄 흘러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고 대인관계에 불편을 겪는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들을 ‘눈물흘림증(유루증)’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눈물흘림증은 왜 나타날까? 눈물흘림증 크게 눈물의 과다분비 또는 눈물배출로의 이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눈물의 과다분비는 건성안이나 안구 표면 질환 등이 있으면 외부의 자극에 안구 표면이 쉽게 손상을 받게 되면서 눈물샘에서 반사적으로 눈물 분비를 증가시켜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실내에서는 증상이 경하나 외출하게 되면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흔하다. 눈물 배출로의 이상은 크게 눈물점 이전의 이상과 이후의 이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노화가 진행함에 따라 눈꺼풀의 힘이 약해지면서 안검외반 또는 안검내반 등이 발생하는 경우 눈물이 고이기 쉽고 결막 이완이 생겨도 늘어진 결막이 눈물의 배출을 막아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 눈물점이 좁아지거나 막혀도 눈물 배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후 코로 연결되는 눈물 배출로인 눈물소관이나 코눈물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눈물이 고이게 된다. 아직 눈물길 폐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고령이나 여성에서 더 흔하며 주로 염증과 연관되었을 것으로 추론한다. 또한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선천 코눈물관 폐쇄도 있다.

흔히 눈물이 나면 닦으면 된다고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눈물흘림증을 방치하면 눈가가 자주 짓무르고 아플 수 있다. 수시로 눈물을 닦느라 일상생활, 대인관계에 불편을 겪을 수 있고 앞이 뿌옇게 보여 시야를 방해한다. 눈을 자주 비비게 되어 충혈, 가려움증, 만성 안질환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지며 눈곱이 자주 끼기도 한다. 심한 경우 눈물주머니염, 눈꺼풀과 안구 주변으로 빨갛게 염증이 퍼지는 ‘봉와직염’까지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눈물흘림증이 있다면 안과에 방문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물길은 겉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탐침법이나 눈물길 관류 검사와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폐쇄나 협착 여부를 진단할 수 있지만 그 정확도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눈물길 미세 내시경 장비 도입으로 눈물길 내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진단에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선천 코눈물관 폐쇄로 판단된 소아의 경우 항생제 안약 점안이나 눈물길 마사지를 통해 대부분은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생후 12개월 이상 소아의 경우 탐침법을 통해 막힌 부위를 개통하는 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소아에서도 탐침법에 효과가 없는 경우 눈물길 미세 내시경을 이용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원발 코눈물관 폐쇄의 치료로는 폐쇄 위치나 정도에 따라 실리콘관 삽입술, 누낭비강문합술, 결막누낭비강문합술 등을 시행한다. 실리콘관 삽입술은 막힌 부위를 재개통한 후 실리콘관을 삽입해 눈물길 내경을 넓히고 재협착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튜브가 눈물을 흡수해 코로 배출시켜 주는 방법이다. 협착의 정도가 심하여 재개통이 어려운 경우 눈물주머니를 열어 눈물이 코로 배출되게 하는 누낭비강문합술이 효과적이다.

샤일리안과 장민욱 원장 /사진 제공=샤일리안과

샤일리안과 장민욱 원장은 “눈물은 눈물점, 눈물소관, 눈물주머니, 코눈물관을 거쳐 코로도 배출되는데, 안구 표면에서 얇은 막으로 각결막을 코팅해 눈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요즘처럼 추운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아져 안구건조증이 심해지면서 외부 자극에 의해 눈물을 흘리는 경우도 많다. 만약 시도 때도 없이 눈물이 줄줄 흐른다면 과도한 눈물 분비인지 눈물 배출로의 이상인지 정확하게 감별해야 한다. 또한 이 두 가지 원인을 동시에 갖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치료만 할 경우 증상이 호전되기 어려울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