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C 2024 in 국방] 곽기호 국방과학연구소 국방AI센터장 “AI 강군 육성의 조건, 민간 협력”
“민간에서 만든 성숙된 기술, 어떻게 어디까지 활용할지 고민 필요”
인공지능(AI) 기반 국방력 강화를 위해선 민간과 협력이 필수라는 주장이 나왔다. 국방 분야에 AI를 전반적으로 활용하려면 군에서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이미 민간에서 잘 만들어 놓은 AI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 역시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곽기호 국방과학연구소 국방AI센터장은 16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국방 AI 포럼 ‘AWC : AI for Defense’에서 “국방부는 국방혁신 4.0을 추진하며 AI 기반 핵심 첨단전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국방 전체적인 분야에 AI를 활용하기 위해선 군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민간 기술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국방부는 안보 강화를 위한 국방혁신 4.0을 가시화 하고 있다. 군에 AI 기술을 접목해 감시·정찰 능력을 향상하고 결심·대응 시간을 줄이는 ‘지능형 3축 체계’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비롯한 핵심전력들을 초연결해 실시간으로 결심·대응하는 합동 전 영역 지휘통제체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국방AI센터는 이를 추진하기 위해 △데이터 및 인프라 관리 △AI·자율 공개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AI 기반 상황인식 △AI 기반 계획 및 판단 △정보, 감시, 정찰 △다중로봇 협업 임무 등을 개발하고 있다. 곽 센터장은 “AI 관련 로드맵을 어느 정도 수립해가고 있다”면서 “내년에는 로보틱스 오토메이션 시스템 관련 우리가 만든 방향성과 그 결과물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진정한 국방 AI 강국이 되기 위해선 민간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군에서는 인간의 인식·판단·결심 능력을 보강해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는 지능형 정보체계를 만들어야 하고, 여기엔 AI 기술뿐 아니라 결심지능, 판단지능, 인식지능, 데이터 등이 필요한데 군에서 처음부터 만들려면 기술과 시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곽 센터장은 “이미 민간에는 성숙돤 AI 기술들이 있다”면서 “군에서 집중할 수 있는 분야는 집중하지만, 민간의 기술도 활용해 군 전반에 AI를 탑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례로 지휘통제 체계, 자율 무기체계, 사이버 및 전자전 운용 등은 군에서 집중해야 하지만, 국방 업무 처리 및 정보 관리, 군수 지원, 로봇 및 자율시스템 등은 민수 기술을 활용하고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등도 민군 융합을 통한 국방 과학기술을 혁신하고 있다”면서 “보안 때문에 안 된다고 주장하기보다는 이를 활용한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우리가 기술이 없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 기술들을 어떻게, 어디까지 활용할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AI 기반 한국 안보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유용원 의원실과 국회 AI와 우리의 미래, 인공지능 전문매체 더에이아이(THE AI)가 마련했다. 포럼에는 정부, 대학,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국방 AI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