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허리 통증의 원인과 효과적인 예방법
임신은 여성의 몸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특히 임신 과정에서 많은 임산부가 허리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임신 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 신체 중심의 변화 등이 허리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척추와 주변 근육에 영향을 미쳐 통증을 유발한다. 하지만 많은 임산부가 태아에 대한 걱정으로 적절한 치료를 주저하거나 통증을 방치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임산부는 임신 중 평균적으로 10~13kg의 체중 증가를 경험한다. 이 중 절반 정도는 복부의 팽창에 따른 체중 증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게 중심의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허리를 뒤로 젖히고 배를 앞으로 내미는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자세는 척추에 과도한 압박을 주어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복근 팽창, 등 근육 수축 등도 허리 통증의 원인이 된다.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 신전근이 복부의 팽창으로 인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하는 것이다.
여기에 임신으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커진 자궁이 대정맥을 압박하면서 정맥 내 압력이 상승하고 요추 신경으로의 혈류가 저하되면서 누워 있는 동안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 기간 동안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 올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 서 있을 때 등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앉을 때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쿠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장시간 앉아 있는 것은 피해야 한다. 오랜 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면 척추에 과부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수면 자세 또한 중요한데 커진 자궁이 대정맥을 압박하지 않도록 왼쪽으로 누워 자는 것이 권장된다. 이러한 자세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요추 신경으로의 혈류를 개선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허리 통증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해 운동 요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심부 근력 강화 운동은 통증 완화와 척추 건강 유지에 효과적이다. 출산 후에도 가벼운 스트레칭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의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도일병원 고도일 병원장은 "임산부 허리 통증은 적절한 운동 요법으로 개선될 수 있는데 통증이 심할 경우 병원을 찾아 약물 요법 대신 약물이 없는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임신 시간 뿐 아니라 출산 후의 척추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약 출산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며 “무엇보다 자신의 몸을 이해하고 필요한 조치를 적절히 취하는 노력이 필요한데 특히 건강한 출산과 이후의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허리 건강을 지키는 데 힘써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