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야후이미지검색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는 복날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더운 시기로 초복, 중복, 말복으로 나뉘어 삼복이라고도 부른다. 삼복은 10일 간격으로 들어 초복에서 말복까지 20일이 걸리는데, 복날은 음력이 아닌 양력의 개념을 적용하기 때문에 해에 따라서는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며 말복이 입추 뒤에 오기도 한다.
복날이 되면 더위를 이기고 몸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음식을 장만해 먹는다. 복날 보신 음식으로는 개를 잡아 만든 개장국과 중병아리를 잡아 만든 영계백숙을 즐겨 먹었다.
복날 개고기를 먹는 것은 보신뿐만 아니라 쇠(金)의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서다. 오행으로 보면 서쪽에 해당하는 개는 금(金)에 속하는데, 화기가 극성을 부리는 복날에는 금의 기운이 쇠퇴하기 때문에 금의 기운이 왕성한 개를 먹어 부족해진 쇠의 기운을 보충해야 더위로 허해진 심신의 균형을 바로 세울 수 있다고 믿었다.
이 외에 복날에는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해서 팥죽을 먹기도 했으며, 아이들이나 여인들은 참외나 수박을 먹었다.
어른들은 복날에 계곡에 발을 씻는 탁족을 하면서 더위를 피하기도 했다. 서울에서는 이날 약수에 머리를 감으면 풍이 없어지고 부스럼이 낫는다고 하여 해마다 ‘물맞이’를 했다. 하지만 또 다른 지방에서는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하면 몸이 여윈다고 믿어 아무리 더워도 복날에는 목욕하지 않았다. 단, 초복에 목욕했다면 중복과 말복에도 목욕해야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다.
복날과 관련된 속담으로는 ‘복날 개 패듯 한다’, ‘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 처자가 울겠다’, ‘삼복지간에는 입술에 붙은 밥알도 무겁다’, ‘초복날 소나기는 한 고방의 구슬보다 낫다’ 등이 있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