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잠이 보약이라지만…잠에 대한 집착이 노인 불면 부추긴다

기사입력 2024.09.17 06:00
  • 흔히 ‘잠이 보약’이라고 하지만, 좋은 잠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오히려 노년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석주 교수 연구팀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 사이 불면증을 호소한 60세 이상 45명을 대상으로 노년에서 수면에 대한 기대와 걱정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 이미지 출처=픽사베이
    ▲ 이미지 출처=픽사베이

    연구팀은 62채널 뇌파 증폭기를 이용해 연구 참가자의 뇌파(qEEG)를 확인하고, 연구 참가자의 현재 수면 상태와 태도, 불면증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 등을 동시에 분석했다. 연구에 등록한 환자의 평균 나이는 68.1세로 모든 참가자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수면장애를 호소했고, 경미한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보였다. 인지기능은 모두 정상이었다.

    연구 결과,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DBAS-16)이 큰 사람은 뇌의 모든 영역에서 베타파가 증가했다. 특히, 충분히 잠을 못 자면 다음 날 문제가 생긴다고 믿거나 수면 환경이 완벽해야 좋은 잠을 잘 수 있다는 믿음이 비합리적 수준인 사람은 베타파가 과도하게 높게 관찰됐다. 베타파는 흔히 뇌가 깨어 있었을 때 측정된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결과는 잠자리에서 잠에 대한 인지적 반추, 즉 잠에 대한 걱정을 곱씹으면서 잠들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감소해 있다는 게 뇌파로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면 반응성 설문(FIRST)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수면이 얼마나 방해받는지 조사한 결과에서는 반응성이 높은 사람들은 뇌의 전 영역에서 델타파와 세타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깊은 수면 상태에서 주로 관찰되는 델타파와 세타파가 깨어 있을 때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건 뇌가 비활성화되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감소했다는 증거라고 덧붙였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이 걱정을 만들어 잠 못 이루는 날이 많아지고, 다시 잠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져 불면의 밤이 반복하는 악순환이 완성됨을 뜻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정신생리학(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IF=3)’에 최근 게재됐다.

    김석주 교수는 “뇌파 측정을 통해 노년의 불면을 더욱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연구”라며 “불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지행동치료 등과 같이 마음을 함께 챙겨야 비로소 완전한 숙면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