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비만학회(회장 김성래)가 5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호텔에서 시작한 ‘2024 국제비만-대사증후군 학술대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비만병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촉구하는 언론보도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비만병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 비만병이나 체중 관련 보도 언어와 이미지에 대한 권고사항이다.
-
대한비만학회 박철영 이사장은 “비만은 젊은 미래 세대를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질병의 원인”이라며 “이제 비만은 만성적으로 반복되고 재발하며 꾸준히 진행하는 질병”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유럽비만학회, 미국비만학회 등 세계 비만학회와 공조해 비만병에 대한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취지에 이 자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대한비만학회 언론홍보이사 허양임 교수는 “비만병은 국민 10명 중 4명이 해당하는 질환임에도 개인의 문제라는 인식이 강하다”며, 이는 비만병 환자가 게으르거나 의지가 부족하다는 등의 부정적인 고정관념인 ‘비만 낙인’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
허 교수는 “비만 낙인은 결국 사회적으로 알게 모르게 행해지는 마지막 형태의 차별”이라며, “비만 낙인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는 자살 충동이나 우울증 같은 여러 가지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하거나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표현보다는 정확한 의학 용어를 바탕으로 한 중립적인 표현과 이미지를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비만학회 김유현 간사는 “비만병에 대해 선입견을 강화하거나 특정 신체 부위를 강조하는 이미지보다는 활동적인 모습이나 긍정적인 이미지를 활용해 사회적으로 비만병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강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대한비만학회가 제안한 언론 가이드라인은 ▲뚱뚱한, 거대한, 무거운 등의 부정적인 표현보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 체질량 지수가 높은 사람, 비만병을 진단받은 사람처럼 평가가 배제된 중립적인 표현 사용 ▲비만병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확산시키는 표현 자제 ▲비만인, 비만 아동 등의 표현보다는 비만병을 진단받은 사람과 같은 사람 우선 언어(Peoplefirst language) 사용 ▲비만병 및 비만병을 진단받은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의 표현 사용 자제 ▲비만병에 대해 개인의 책임을 암시하는 표현을 줄이고 만성질환적 특성을 고려하여 보도 ▲’고도비만’과 같은 표현보다는 ‘BMI 기준으로 1단계 비만병(25 이상~30 미만)’과 같은 정확한 의학용어 사용이다.
-
또한, 비만병 관련 이미지 사용 가이드라인으로 ▲선입견을 악화시키는 이미지 사용 자제 ▲비만병 진단받은 사람에 대한 비인간화를 유발하는 머리를 제외한 특정 신체 부위 사진이 아닌 전신사진 활용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이미지 활용을 제시했다.
한편, 대한비만학회는 이날 기자간담회에 이어 ‘비만 진료 급여화를 위한 건강보험정책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비만의 건강 문제와 비만 진료 급여화의 중요성(남가은 대한비만학회 보험법제위원회 이사)’, ‘비만대사수술 전후 관리의 중요성과 급여화 방안(권영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위장관외과 교수)’, ‘소아·청소년 비만 진료 및 관리를 위한 적극 개입 전략(설아람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의료연구본부 연구위원)’에 대한 발표를 통해 고혈압, 당뇨병, 심뇌혈관계질환, 암, 수면 무호흡증, 골관절염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비만병 해결을 위한 의료적 도움과 개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사회경제적 비용의 막대한 증가를 대비하기 위해 비만병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기임이 재차 강조됐다.
대한비만학회는 이번 학회를 포함하여 성인기의 비만 조기 개입 및 효과적인 관리, 치료를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해 정책토론회, 법안 내용 제안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