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전에 따른 당뇨병 고위험군이라도 운동, 금연, 충분한 수면 등 바람직한 생활 습관을 통해 당뇨병 발병을 늦출 수 있음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전적으로 당뇨병 위험이 클수록 인슐린 분비 능력이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하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면 감소 속도가 더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 교수·이현석 서울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연구원은 지역사회 당뇨병 코호트에 등록된 6,311명을 2001~2016년 사이 총 7회 추적 관찰한 결과와 이들의 DNA 정보를 바탕으로,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에 따른 인슐린 분비 능력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
성인 당뇨병(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분비 능력이 떨어져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갈수록 유병인구가 증가하는 중이고 2022년에는 국내 사망원인 8위를 차지하는 등 보건사회학적 중요성이 크다. 따라서 고위험군 선별과 예방 전략 수립을 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당뇨병의 유전적 위험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다유전자 위험 점수’는 당뇨병 발생에 대한 주요 예측 지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인슐린 분비 능력과도 연관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 점수와 장기적인 인슐린 분비 능력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이제껏 없었다.
연구팀은 당뇨병이 없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유전체분석을 실시해 당뇨병 관련 유전자변이 여부를 확인한 후, 다유전자 위험 점수를 계산해 이 점수에 따라 ▲고위험(상위 20%) ▲중간 위험 ▲저위험(하위 20%)으로 구분했다.
첫 번째 당부하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유전적 고위험군일수록 인슐린 분비능력이 낮았다. 저위험군에 비해 중간 위험 및 고위험군은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각각 14%, 25%씩 낮았다.
-
14년에 걸친 당부하검사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인슐린 분비능력이 점차 감소했지만 고위험군의 감소 폭이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의 인슐린 분비 능력 감소 속도는 1.83배 빨랐다. 즉 유전적 요인에 의해 인슐린 분비 능력의 장기적인 변화가 결정됐다.
추가로 다유전자 위험 점수와 함께 5가지 건강한 생활 습관(건강한 식단, 운동, 금연, 체중관리, 충분한 수면) 실천 여부에 따라 인슐린 분비 능력 감소 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모든 유전적 위험 그룹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은 인슐린 분비 능력 감소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됐다. 특히 유전적 고위험군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한 가지 더 실천할 때마다 10년 후 인슐린 분비 능력이 4.4%씩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다유전자 위험 점수를 활용해 인슐린 분비 능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당뇨병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이 당뇨병 예방이나 발병 지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고위험군일수록 생활 습관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 학술지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 IF;14.8)’ 최근호에 게재됐다.
곽수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발병 후 심각한 인슐린 결핍이 예상되는 환자를 유전정보에 따라 선별하고, 조기 개입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뇨병 치료 분야에서 유전자 기반 정밀 의료가 발전하여 환자 맞춤형 당뇨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김정아 기자 jungya@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