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취항 18주년' 제주항공, 국내 첫 LCC로 항공여행 대중화 견인

기사입력 2024.06.05 16:56
  • 제주항공 항공기 / 제주항공 제공
    ▲ 제주항공 항공기 / 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이 취항 18주년을 맞이했다고 5일 밝혔다.

    2006년 6월 5일 제주-김포 노선에서 처음 운항을 시작한 제주항공은 합리적인 운임과 차별화된 서비스로 항공여행의 대중화를 이끌어 왔다.

    국내 처음 저비용항공사(LCC)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인 제주항공의 등장은 국내 항공시장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제주항공의 취항으로 실질적인 복수 경쟁 체제가 형성됐으며 항공사 간의 치열한 경쟁은 공급자 중심의 시장에서 소비자 중심의 시장으로 재편됐다. 그 결과 소비자 선택권은 확대됐고 항공여행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항공여객수송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항공교통 이용자수는 1억59만명으로 제주항공이 운항을 시작한 2006년 4989만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제주항공 취항 이후 연평균 항공여객 증가율은 4.2%로, 1996년부터 제주항공 출범 직전인 200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1.85% 대비 2배 이상 높은 성장률이다.

    제주항공의 수송객수도 꾸준히 증가했다. 취항 첫해인 2006년 25만명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연간수송객수 1000만명 시대를 열었으며, 지난해 7월에는 국내 LCC 최초로 누적 탑승객 1억명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에는 1231만명을 수송해 코로나19의 여파를 딛고 빠르게 연간수송객수 1000만명대를 회복하는 등 연평균 25.8%의 여객 증가율을 보이며 항공여행 대중화를 이끌었다.

  • 제주항공 연도별 국내·국제선 수송객 수 / 제주항공 제공
    ▲ 제주항공 연도별 국내·국제선 수송객 수 / 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이 만든 항공여행 대중화는 누구나 언제든 쉽게 항공 여행을 떠날 수 있도록 변화시켰다. 멀게만 느껴졌던 제주도를 소풍 가듯 가볍게 떠날 수 있게 했고, 긴 연휴가 아니더라도 연차나 주말, 공휴일을 활용해 짧게 또 자주 항공여행을 떠나는 여행객이 증가했다.

    실제로 제주항공이 지난 연말 자사 SNS를 통해 진행한 설문조사를 분석해 제시한 2024년 여행 트렌드 'S.O.F.T'에 따르면 올해 2회 이상 해외여행을 떠나겠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8%를 차지했다. 여행 목적지로는 일본과 동남아 등 중·단거리 노선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은 현재 일본∙중국∙동남아∙대양주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47개 도시, 66개 노선에 운항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2006년 첫 취항 이후 항공여행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국내·외 항공여행의 대중화를 이끌어 왔다"며, "다양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해 여행이 떠오르는 순간부터 여행이 마무리될 때까지 제주항공과 함께 즐거운 추억을 쌓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뉴스